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16

[하루한자] 기록하다 記 기 | 기록 잘하고 계신가요? 많은 분들이 일기를 쓰거나 다이어에 자신의 일과를 잘 정리하실 것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기록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기록하다 記 기'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기록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록하다 記 기 = 말씀 言 언 + 몸 己 기' 입니다. '말씀 言 언'은 말씀이라는 뜻을 가진 부수 글자로 말씀이라는 것은 말의 높임말 이기 때문에 '말하다, 말' 이라는 뜻으로 사용이되는 글자 입니다. '몸 己 기'는 사람의 몸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여러가지 해석 방법이 있는데 '己'를 사람의 척추 뼈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로 해석하여 '몸, 뼈대' 이라는 뜻이고 자신의 몸을 가리켜 '자기, 나.. 2021. 1. 16.
[하루한자] 벼리, 실마리 紀 기 | 그물을 보면서 배울 수 있는 글자. 실마리라는 말을 잘 아실 텐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 실마리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벼리, 실마리 紀 기'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실마리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벼리, 실마리 紀 기 = 실 糸 사 + 몸 己 기' 입니다. '실 糸 사'는 실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실타래의 모양을 본 뜬 상형 글자 입니다. '몸 己 기'는 사람의 몸을 나타내는 부수글자입니다. 이 글자도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인데, 여러 가지 해석이 있는 글자로 '己' 모양이 사람의 척추 뼈 마디를 본 떠서 만들었다는 주장과 구부러진 밧줄 또는 노끈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주장이 대표적인 해석 방법 입니다. 사람의 척추 뼈 모양을 본 떴기 때문에 '몸'이라는 뜻이 있는 것이고 .. 2021. 1. 15.
[하루한자] 바로잡다 矯 교 | 바로잡을 일이 있을 때 마다 공부할 수 있는 글자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실수 이후에 실수를 바로잡는 것인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바로잡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바로잡다 矯 교'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바로잡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잡다 矯 교 = 화살 矢 시 + 높다 喬 교' 입니다. '화살 矢 시'는 화살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높다 喬 교'는 높이가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고'로 키가 큰 나무의 높이가 높고(高) 그 끝의 가지가 멋지게 휘어진(夭) 것을 나타내어 '키 큰 나무, 높다'는 뜻 입니다. 여기에서는 '키 큰 나무'의 뜻으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바로잡다 矯 교'의 음인 '교'는 '높다 .. 2021. 1. 11.
[하루한자] 다리 橋 교 | 나무 다리를 본 적 있나요? 어떤 분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다리를 건너가면서 생활을 하실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다리를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다리 橋 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다리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리 橋 교 = 나무 木 목 + 높다 喬 교' 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높다 喬 교'는 높이가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고' 입니다. '어리다 夭 요'는 고개를 기울이고 춤을 추는 모습을 담은 글자인데 여기에서는 고개를 기울이는 것에서 '구부러지다'는 뜻으로 결합을 하였고, '높다 高 고'는 높이가 높은 것을 나타내어 나무가 자라서 그 높이가 높고 가지가 멋지게 구부러진 것을 나타내어 '키 큰 나무, 높.. 2021. 1. 10.
[하루한자] 교만하다 驕 교 | 날뛰는 말을 본적 있으세요? 교만하다는 말은 잘 알고 계실 텐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교만하다는 뜻의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교만하다 驕 교'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교만하다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교만하다 驕 교 = 말 馬 마 + 높다 喬 교'입니다. '말 馬 마'는 말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높다 喬 교'는 높이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글자로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교' 입니다. 즉 이 글자는 키가 큰 나무를 표한한 글자 입니다. 나무 중에서 그 키, 높이가 높고(高) 나무의 가지가 멋지게 휘어져 있는, 구부러져 있는(夭) 나무를 가리켜 '키 큰 나무, 높다'는 뜻 입니다. '교만하다 驕 교'의 음인 '교'는 '높다 喬 교'의 음인 '교'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 2021. 1. 7.
[하루한자] 아리땁다 嬌 교 | 한자가 말하는 아리따운 여자는? 남성분들 대부분은 아름다운 여성을 좋아하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아름다운 여성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아리땁다 嬌 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아름다운 여성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리땁다 嬌 교 = 여자 女 여 + 높다 喬 교' 입니다. '여자 女 여'는 여자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높다 喬 교'는 높이가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고' 입니다. 이 글자는 그 키가 큰 나무의 모습을 표현한 글자로 나뭇가지가 축 늘어지고(夭) 키가 큰(高) 것을 나타낸 것으로 '큰 키나무,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아리땁다 嬌 교'의 음인 '교'는 '높다 喬 교'의 음인 '교'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嬌'를 형성 글자라.. 2021. 1. 6.
[하루한자] 높다, 타향살이 僑 교 | 고향을 떠나본 적 있으신 가요? 고향을 떠나서 생활해 본 경험이 있으신 가요? 한자에는 재미있게도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높다, 타향살이 僑 교'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높다, 타향살이 僑 교 = 사람 亻 인 + 높다 喬 교' 입니다. '사람 亻 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 모양은 '人'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亻'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높다 喬 교'는 높이가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고' 입니다. 이 글자는 그 키가 크고 높이(高) 자라 나뭇가지가 기울어진(夭)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2021. 1. 5.
[하루한자] 높다, 타향살이 僑 교 | 고향을 떠나본 적 있으신 가요? 고향을 떠나서 생활해 본 경험이 있으신 가요? 한자에는 재미있게도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높다, 타향살이 僑 교'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높다, 타향살이 僑 교 = 사람 亻 인 + 높다 喬 교' 입니다. '사람 亻 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 모양은 '人'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亻'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높다 喬 교'는 높이가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고' 입니다. 이 글자는 그 키가 크고 높이(高) 자라 나뭇가지가 기울어진(夭)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2021. 1. 5.
[하루한자] 높다 喬 교 | 큰 키 나무를 볼 때 마다 요즘 도시를 보면 높은 건물들이 참 많은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높이가 높은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높다 喬 교'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높이가 높다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높다 喬 교 =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고' 입니다. '어리다 夭 요'는 어리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사람 大 대 + 丿' 입니다. 이 글자는 어린 여성이 춤을 추는 모습을 담은 글자인데 춤을 출 때 고개를 갸우뚱 기울이며 예쁘게 춤을 추는 모습을 담은 글자로 춤을 추는 여성이 '어리다'는 뜻이 있고 고개를 떨구고 죽은 것을 나타내어 '일찍 죽다'는 뜻도 있는 글자 입니다. 여기에서는 춤을 출때 몸이 구부러지듯 '구부러지다'는 중심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높.. 2021. 1. 1.
[하루한자] 웃다 笑 소 | 웃으면 복이 와요! 웃으면 복이 온다는 말이 있는데, 여러분들은 하루에 몇 번 정도 웃으시나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웃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웃다 笑 소'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웃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웃다 笑 소 = 대나무 竹 죽 + 어리다 夭 요' 입니다. '대나무 竹 죽'은 대나무를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가 결합을 하면서 그 길이가 줄어든 것 입니다. '어리다 夭 요'는 어리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사람 大 대 + 丿'로 젊은 여성이 춤을 추는 모습을 담은 글자인데 춤을 출때 고개를 갸우뚱하는 모습을 담은 것 입니다. 여기에서는 어리다는 뜻으로 결합이 된 것이 아니라 춤을 출 때 몸이 구부러지는 그 중심 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2020. 12. 29.
[하루한자] 아리땁다, 요망하다 妖 요 | 요염한 여자를 볼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글자. 영화나 드라마를 보시면 아주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아름다운 여성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아리땁다, 요망하다 妖 요'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아름다운 여성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리땁다, 요망하다 妖 요 = 여자 女 여 + 어리다 夭 요' 입니다. '여자 女 여'는 여자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어리다 夭 요'는 일찍죽다, 어리다, 젊다, 예쁘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여성이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고 춤을 추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로 교태를 부리며 춤을 추는 젊은 여성을 나타내어 '어리다, 젊다, 예쁘다'는 뜻이고 고개를 떨구고 죽은 사람을 나타내어 '일찍죽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 '아리땁다, 요망하다.. 2020. 12. 28.
[하루한자] 어리다 夭 요 | 모두 어린 시절이 있으셨죠? 누구나 어린 시절이 있기 마련이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어린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어리다 夭 요'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어린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리다 夭 요'는 지사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지사의 원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이나 의미를 부호 같은 것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 입니다. 이 글자는 '사람 大 대 + 丿' 을 이용하여 어리다는 것을 표현한 것인데요. '크다 大 대'는 크다는 뜻이 있는 글자로 사람이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이 그렇지 않은 모습보다 상대적으로 커 보이므로 '크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사람이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본 떠서 만들었기 때문에 '사.. 2020. 12. 23.
[하루한자] 더하다 添 첨 | 덧붙여본 경험 있으시죠?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무언가를 덧붙여본 경험이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덧붙이거나 더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더하다 添 첨' 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덧붙이거나 더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더하다 添 첨 = 물 氵 수 +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 입니다. '물 氵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水'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氵'로 변하기도 합니다.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은 '하늘 夭(天의 변형) 천 + 마음 㣺 심' 입니다. 즉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하늘을 보기가 부끄러운 마음을 표현한 글자로 '더럽히다, .. 2020. 12. 18.
[하루한자]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 |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기를... 자신의 부끄러운 행동으로 얼굴 들기가 민망한 경험을 한번쯤 해보셨을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경우를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그렇게 부끄러운 상황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 = 하늘 夭 천 + 마음 㣺 심' 입니다. '하늘 夭 천'은 하늘을 뜻하는 글자로 '사람 大 대 + 一(하늘)' 입니다. 사람의 머리위에 가로획을 그어 줌으로 머리위로 펼쳐진 하늘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이 글자의 본래 모양은 '天'이지만 결합을 하면서 그 모양이 '夭'로 윗부분의 가로획이 비스듬하게 변형이 된 것 입니다. '더럽히다 忝 첨'의 음인 '첨'은 '하늘 天 천'의 음인 '천'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2020. 12. 14.
[하루한자] 법 規 규 | 이런게 규칙 입니다. 경험이 많으신 어른들의 의견이 이치에 맞는 것을 보신 경험이 있으실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법 規 규'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경험이 많은 분들의 의견이 이치에 맞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법 規 규 = 사나이 夫 부 + 보다 見 견' 입니다. '사나이 夫 부'는 사나이, 사내, 지아비의 뜻을 가진 글자로 '사람 大 대 + 一 (동곳)' 입니다. 즉 동곳을 한 성인 남자를 표현한 글자로 동곳이라는 것은 결혼, 관례를 한 남자들이 상투를 올릴때 하는 도구 입니다. '보다 見 견'은 보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눈 目 목 + 걷는 사람 儿 인' 입니다. 자세하게 관찰하기 위해 대상 주위를 걸어다니며 보는 것을 의미하는 .. 2020. 12. 13.
[하루한자] 돕다 扶 부 | 도움의 손길을 볼 때마다 공부할 수 있는 글자 다른 사람을 돕는 모습을 보신 경험들이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돕다 扶 부'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돕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돕다 扶 부 = 손 扌 수 + 사나이 夫 부' 입니다. '손 扌 수'는 손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 모양은 '手'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扌'로 바뀌기도 합니다. '사나이 夫 부'는 사나이, 사내, 지아비를 나타내는 글자로 '사람 大 대 + 一 (동곳)' 입니다. 머리에 동곳을 꽂은 남자 성인을 표현한 글자로 관례나 결혼을 하고 상투를 한 남자 성인을 사내, 지아비라고 한 것 입니다. '돕다 扶 부'의 .. 2020. 12. 12.
[하루한자] 사나이, 지아비 夫 부 | 한자가 말하는 사나이는? 사나이라고 하면 어떤것이 떠오르세요? 어떤 분들은 특정 연예인이 생각나시는 분들도 계실것이고 특정 TV프로그램이 생각나시는 분들도 있으실 것 입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사나이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사나이 夫 부'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사나이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나이 夫 부 = 크다 大 대 + 一 (동곳)' 입니다. '크다 大 대'는 크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사람 人 인'에서 '一'을 더해준 모양인데 '一'은 사람의 양팔 입니다. 즉 '大'는 사람이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양팔을 벌리고 있을 때 더 커보이는 것을 나타내어 '크다'는 뜻의 글자가 된 것입니다. 그리.. 2020. 12. 9.
[하루한자] 안개 霧 무 | 안개낀 날씨를 좋아하세요? 안개낀 날씨를 좋아하세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안개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안개 霧 무'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안개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개 霧 무 = 비 雨 우 + 힘쓰다 務 무' 입니다. '비 雨 우'는 비를 표현한 부수글자 입니다. '힘쓰다 務 무'는 힘쓰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인데 '힘쓰다 敄 무 + 힘 力 력' 또는 '창 矛 모 + 힘쓰다 务 무' 입니다. 즉 힘쓰고 힘쓰는 것 또는 무기를 들고 힘써서 적과 싸우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안개 霧 무'에서의 음인 '무'는 '힘쓰다 務 무'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霧'를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비 雨 우'와 '힘쓰다 務 무'를 결합하여 '안개 霧 무'를 만들어 낸 것인데.. 2020. 12. 9.
[하루한자] 힘쓰다 務 무 | 열심히 일한 당신... 대부분의 사람들이 열심히 힘쓰며 자신의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힘쓰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힘쓰다 務 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힘쓰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힘쓰다 務 무 = 힘쓰다 敄 무 + 힘 力 력' 으로 해석하는 방법과'힘쓰다 務 무 = 창 矛 모 + 힘쓰다 务 무'로 해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힘쓰다 務 무 = 힘쓰다 敄 무 + 힘 力 력'로 해석하는 경우'힘쓰다 敄 무'는 힘쓰다는 뜻이 있는 글자로 '창 矛 모 + 치다, 두드리다 攵 복' 입니다. 즉 손에 무기(창)를 들고 적과 싸우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인데요. 그렇게 적과 힘써서 싸우다는 데에서 '힘쓰다'는 뜻 입니다. '힘 力 력'은 힘을 나타내.. 2020. 11. 30.
[하루한자] 평론하다 評 평 | 제 점수는 요.... 요즘 TV를 보다보면 평론하는 내용의 프로그램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재미 있는 것은 한자에도 평론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평론하다 評 평'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평론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평론하다 評 평 = 말씀 言 언 + 평평하다 平 평' 입니다. '말씀 言 언'은 말씀을 표현한 글자인데 말씀은 말의 높임말이죠. 그래서 이 글자는 말씀, 말, 말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말하다는 의미로 결합이 된 것입니다. '평평하다 平 평'은 평평한 것을 뜻하는 글자로 수면위에 물품이 떠 있는 것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가장 평평한 것이 수면이므로 수면을 표현한 것인데 수면을 가로획 하나를 그어 표현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면 다른 .. 2020. 1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