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사나이, 지아비 夫 부 | 한자가 말하는 사나이는?

by Think Pond 2020. 12. 9.
반응형




사나이라고 하면 어떤것이 떠오르세요? 어떤 분들은 특정 연예인이 생각나시는 분들도 계실것이고 특정 TV프로그램이 생각나시는 분들도 있으실 것 입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사나이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사나이 夫 부'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사나이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나이 夫 부 = 크다 大 대 + 一 (동곳)' 입니다.


'크다 大 대'는 크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사람 人 인'에서 '一'을 더해준 모양인데 '一'은 사람의 양팔 입니다. 즉 '大'는 사람이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양팔을 벌리고 있을 때 더 커보이는 것을 나타내어 '크다'는 뜻의 글자가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 글자에는 중요한 뜻이 하나더 있는데 그것은 '사람'이라는 뜻 입니다. 이 글자가 사람이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므로  '사람'이라는 뜻도 있는 것 입니다. 여기서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一(동곳)' 동곳이라는 도구는 남자의 상투가 풀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크다, 사람 大 대'와 '一(동곳)'을 결합하여 '지아비, 사나이 夫 부'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남자가 장성()하여 관례를 올리고 머리에 관을 쓰는것을 나타냄. 또는 결혼을 하여 상투를 틀고 동곳()을 꽂은 사람()사내, 사나이, 지아비라는 뜻입니다.


이 글자는 동곳을 꽂은 남자를 가리키는 글자로 상투를 틀수 있는 남자는 관례(성년식) 또는 결혼을 한 남자가 상투를 틀게되고 동곳을 사용하게 되는데 바로 그렇게 성인이 된 사람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성인이된 남자인 '사나이, 사내'를 보시거나 결혼한 성인남성을 보실 때 마다 '사나이, 지아비 夫 부'를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부부 夫婦, 부인 夫人, 공부 工夫, 농부 農夫, 어부 漁夫'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