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루한자] 통달하다 達 달 | 새끼양을 통해 배울 수 있는 한자 어떤 목표나 목적지에 도착을 하는 것을 '이르다, 도달하다'라고 하고 특정분야에 정통하신 분들을 보고 '통달했다'라고 표현한 하는데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도달하거나 통달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통달하다 達 달'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도달하거나 통달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통달하다 達 달 =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새끼양 羍 달' 입니다. '쉬엄쉬엄가다 辶 착'은 가다가 쉬고 가다가 쉬고 하면서 가는 것을 뜻하는 글자 입니다. '辶'의 본래 모양은 '辵'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辶'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 글자는 쉬엄쉬엄 가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그렇게 쉬.. 2020. 10. 29. [하루한자] 어린양 羍 달 | 어린양을 보신적 있으신가요? 가장 온순한 동물을 생각하면 대표적으로 양이 떠오르실 것인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어린양, 새끼양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어린양 羍 달'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어린양, 새끼양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린양 羍 달 = 크다 大 대 + 양 羊 양' 입니다. '크다 大 대'는 큰 것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크기가 큰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양 羊 양'은 양을 나타내는 부수글자인데 양의 머리를 본 떠서 만든 상형글자 입니다. 그래서 '크다 大 대'와 '양 羊 양'을 결합하여 '어린양 羍 달'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큰(大) 양인 어미양에 매달려 젖을 빨고 있는 어린 양(羊)을 나타내어 ‘새끼 양'이라는 뜻 입니다. 이 글자는 크다와 양이 .. 2020. 10. 28. [하루한자] 물놀이 漣 연 | 물수제비 해보신 경험 있으시죠? 물놀이 좋아 하세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물놀이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물놀이 漣 연'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물놀이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놀이 漣 연 = 물 氵 수 + 연결하다 連 연' 입니다. '물 氵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이 글자의 본래 모양은 '水'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氵'로 변하기도 합니다. '연결하다 連 연'은 연결하다, 이어지다, 계속되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수레 車 차' 입니다. 이 글자는 수레가 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로 수레가 가기 위해서는 수레에 달려 있는 바퀴가 회전을 해야 하는데 바로 그 바퀴의 회전에 한번만 돌고 멈추는 것.. 2020. 10. 27. [하루한자] 연꽃 蓮 연 | 연꽃을 볼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글자 연꽃을 보신 경험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연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연꽃 蓮 연'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연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꽃 蓮 연 = 풀 艹 초 + 연결하다 連 연' 입니다. '풀 艹 초'는 풀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의 본래 모양은 '艸'인데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艹'로 변하기도 합니다. '연결하다 連 연'은 연결하다, 이어지다, 계속되다, 잇닿다 등의 뜻을 가진 글자로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수레 車 차' 입니다. 즉 이 글자는 수레가 가는것을 표현한 것인데 수레가 가기 위해서는 수레에 달린 바퀴가 회전을 해야죠? 그렇게 수레의 바퀴가 회.. 2020. 10. 26. [하루한자] 연결하다 連 연 | 수레를 끌어 보신적 있으신가요? 떨어져 있는 사물들을 붙이는 것을 연결하다라고 하는데요. 재미 있게도 한자에는 연결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연결하다 連 연'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연결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하다 連 연 =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수레 車 차' 입니다. '쉬엄쉬엄가다 辶 착'은 쉬엄쉬엄가는 것을 나타내는 부수글자인데 본래 이 글자의 모양은 '辵' 입니다. 이 글자가 다른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辶'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또한 글자의 뜻이 '쉬엄쉬엄가다'인데 쉬엄쉬엄가는 것은 가다 쉬다를 반복하면서 가는 것이죠. 결국 그것도 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글자는 대부분 '가다'는 뜻으로 해석이 됩니다. '수레 車 차'는 수.. 2020. 10. 24. [하루한자] 일컫다 稱 칭 | 쌀가마니 들어보신 분 계신가요? '일컫다'라는 말을 잘 아시죠? 어떤 것을 가리켜 말하는 것을 '일컫다'라고 하는데요. 한자에는 일컫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일컫다 稱 칭'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일컫다 라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컫다 稱 칭 = 벼 禾 화 + 들다, 들어올리다 爯 승, 칭' 입니다. '벼 禾 화'는 벼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들다, 들어올리다 爯 승, 칭'은 손으로 물건을 들어올리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로 ' 손톱 爪 조 + 冉(쌓아 올린 물건)'입니다. 이 글자는 손으로 물건을 들어올리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일컫다 稱 칭'의 음인 '칭'은 '들다 爯 칭, 승'의 음인 '칭'에성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稱'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 2020. 10. 22. [하루한자] 비탈 阪 판 | 비탈길 다녀 보셨죠? 비탈길을 다녀 보셨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비탈길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비탈 阪 판'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비탈길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탈 阪 판 = 언덕 阝 부 + 반대, 뒤집다 反 반' 입니다. '언덕 阝 부'는 언덕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본래 그 모양이 '阜' 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에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阝'로 변하기도 합니다. '반대, 뒤집다 反 반'은 반대, 뒤집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厂 + 오른손 又 우' 입니다. 즉 손으로 어떤 물건을 뒤집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뒤집다'는 뜻이 있는 것이고 뒤집힌 면은 본래면의 반대면이라고 하여 '반대'라는 뜻이.. 2020. 10. 21. [하루한자] 널조각 版 판 | 도장을 사용할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글자. 지난 시간에 '널조각 板 판'을 공부하였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板'과 같은 뜻과 음을 가진 글자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이번시간에 공부할 '널조각 版 판'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板'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널조각 版 판 = 조각 片 편 + 뒤집다, 반대 反 반' 입니다. '조각 片 편'은 나무조각을 나타내는 부수글자인데 이 글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나무를 가리키는 '나무 木 목'을 반으로 잘랐을 때 오른쪽 부분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나무를 잘랐으니 그 뜻이 나무조각이 되겠죠? '뒤집다, 반대 反 반'은 뒤집다와 반대를 뜻하는 글자로 '厂 + 오른손 又 우' 입니다. 손으로 사물을 뒤집는 것을 표현한 글자로 사물을 뒤집으니 '뒤집다'는 뜻이 .. 2020. 10. 15. [하루한자] 널조각 板 판 | 널판지를 볼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글자. 널판지를 아시나요? 넓게 만들어진 나무판을 말하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널판지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널조각 板 판'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 하면서 널판지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널조각 板 판 = 나무 木 목 + 반대, 뒤집다 反 반' 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반대, 뒤집다 反 반'은 반대, 뒤집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厂 + 오른손 又 우'로 손으로 어떤 사물을 뒤집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사물을 손으로 뒤집는 것이니 '뒤집다'는 뜻이 있는 것이고 뒤집힌 면은 본래의 면에 반대라고 하여 '반대'라는 뜻이 있는 것 입니다. 여기서는 '뒤집다'는 뜻으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널조각 板 판'의 음.. 2020. 10. 14. [하루한자] 팔다 販 판 | 여러분은 어떤 것을 파시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판매를 하면서 생활을 하죠? 어떤 분들은 상품을 판매하시는 분들도 계실 테고 어떤 분들은 서비스, 자신의 노동력, 지식, 시간 등을 판매하실 것 입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판매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팔다 販 판'이라는 글자 입니다. '팔다 販 판 = 조개 貝 패 + 반대, 뒤집다 反 반' 입니다. '조개 貝 패'는 조개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조개를 나타내는 글자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할 때에는 대부분 '돈'이라는 의미로 결합이 됩니다. 여기서도 '돈'이라는 뜻으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반대, 뒤집다 反 반'은 반대, 뒤집다는 뜻의 글자로 '厂 + 오른손 又 우' 입니다. 즉 손으로 어떤 사물을 뒤집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인데 그렇게 사.. 2020. 10. 12.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8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