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루한자] 꾀 謨 모 | 좋은 아이디어는 혼자보다 여럿이... 주위에 보면 간혹 좋은 아이디어나 꾀를 가지신 분이 종종 있는데요. 한자에는 이러한 꾀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꾀 謨 모'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꾀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꾀 謨 모 = 말씀 言 언 + 저물다 莫 모' 입니다. '말씀 言 언'은 말씀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말씀은 말의 높임말이죠. '저물다 莫 모'는 해가 저무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로 해가 저물때 그 모양이 커 보이면서 풀 숲 아래로 저무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이중음을 가진 글자로 여러개의 음과 뜻이 있는 글자 입니다. 대표적으로 '없다'는 뜻으로 사용될 때에는 '막'이라는 음으로 사용이되고 '저물다'는 뜻으로 .. 2020. 8. 3. [하루한자] 찾다 摸 모 | 손으로 더듬으며 물건을 찾을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어두운 방에서 손으로 더듬어 가며 물건을 찾아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한자에는 이렇게 물건을 찾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바로 '찾다 摸 모'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찾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찾다 摸 모 = 손 扌 수 + 저물다 莫 모' 입니다. '손 扌 수'는 손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手'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扌'로 변하기도 합니다. '저물다 莫 모'는 해가 저무는 모습을 담은 글자입니다.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로 해가 질때 그 모양이 켜져 보이면서 풀 숲 아래로 지는 것을 담은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이중음을 가진 글자로 '없다'는 뜻으로.. 2020. 8. 1. [하루한자] 본보기, 법 模 모 | 핸드폰 매장에서 모형 보신경험 있으시죠? 핸드폰 매장에 방문 하셔서 모형으로 만든 휴대전화기를 보신적 있으시죠?그런 매장을 방문해 보면 실 제품과 동일한 모양의 모형을 볼 수 있든데요. 여기서 모형이라고 할 때 '모'는 '본보기, 법 模 모'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본보기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보기, 법 模 모 = 나무 木 목 + 저물다 莫 모' 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저물다 莫 모'는 해가 저무는 것을 담은 글자인데요.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 입니다. 해가 질 때 그 모양이 커져 보이면서 풀 아래로 가라 앉는 것을 담아낸 글자로 '없다, 저물다'의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뜻이 하나더 있는데요. 그것은 '꾀하다'는 뜻입니다. 해가 .. 2020. 7. 31. [하루한자] 사모하다 慕 모 | 밤마다 생각나는 사람이 있으세요? 밤마다 생각나는 사람이 있으신가요? 이러한 마음의 상태를 표현한 한자가 있는데요.바로 '사모하다 慕 모'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이러한 마음의 상태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모하다 慕 모 = 저물다 莫 모 + 마음 心 심' 입니다. '저물다 莫 모'는 해가 저무는 모습을 담은 글자로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 입니다. 해가 저물때 그 모양이 커져 보이며 풀 숲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 저무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이중음을 가진 글자로 '저물다'는 뜻으로 사용될 때에는 '모'라는 음으로 발음이 되고, '없다'는 뜻으로 사용될 때에는 '막'으로 발음 되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저물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모하다 慕 모'의 음인.. 2020. 7. 30. [하루한자] 모으다 募 모 | 모집 공고를 볼 때마다 배울 수 있는 글자~ '모집'이라고 할 때 '모'는 모으는 것을 나타내는 '모으다 募 모'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모으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으다 募 모 = 저물다 莫 모 + 힘 力 력' 입니다. '저물다 莫 모'는 해가 저무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로 해가 질 때에 그 모양이 커져 보이면서 풀 숲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담은 글자 입니다. 그리고 '없다 莫 막' 이라고도 하는데, '莫'이 이중음을 가진 글자입니다. '없다'는 뜻으로 사용될 때에는 '막'이라는 음, '저물다'는 뜻으로 사용될 때에는 '모'라는 음으로 사용 됩니다. 여기서는 '저물다'는 의미로 사용된 글자 입니다. '모으다 募 모'의 음인 '모'는 '저물다 莫 모'의 음인.. 2020. 7. 29. [하루한자] 저물다 暮 모 | 해가 지는 모습을 담은 글자 '없다 莫 막'을 공부하면서 '莫'은 해가 지는 모습을 담은 글자라고 설명하였는데, 한자에는 이렇게 해가 지는 모습을 담은 글자가 더 있습니다.바로 '저물다 暮 모'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해가 저무는 모습을 어떻게 담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물다 暮 모 = 없다 莫 막 + 해 日 일' 입니다. '없다 莫 막'은 없는 것을 나타낸 글자인데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 입니다. 이것은 해가 풀 숲 아래로 커다랗게 보이며 지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렇게 해가 지고 나니 볼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재미 있게도 이 글자는 이중음을 가진 글자 입니다. 글자는 하나인데 그 음이 여러개 가지고 있는 글자를 말하는데요. 한자에는 이러한 이중음을 가진 글자가 몇개 있는.. 2020. 7. 28. [하루한자] 사막 漠 막 | 사막을 생각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세요? 사막이라고 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세요? 모래언덕, 오아시스, 낙타 등 이러한 것들이 떠오르실 것 입니다.그런데 재미 있게도 사막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사막 漠 막'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사막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막 漠 막 = 물 氵 수 + 없다 莫 막' 입니다. '물 氵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水'이나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에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氵'로 변하기도 합니다. '없다 莫 막'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로 해가 지는 저녁에 해가 풀 밑으로 내려가며 그 크기가 커다랗게 보이는 것을 담은 글자로 해가 지고 나니 볼 수가 '없.. 2020. 7. 27. [하루한자] 막 膜 막 | 눈꺼풀을 볼 때마다 배울 수 있는 글자. 눈꺼풀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 있는 것이죠? 눈꺼풀에서 꺼풀이라는 것은 가리는것 , 막을 의미하는 것인데요. 이러한 꺼풀이나 막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막 膜 막'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꺼풀, 막'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막 膜 막 = 고기 月 육 + 없다 莫 막' 입니다. '고기 月 육'은 고기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고기를 의미하지만 사람의 신체, 몸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신체, 몸'의 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본래 모양은 '肉'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낼 때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月'로 변하기도 합니다. '없다 莫 막'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艹 + .. 2020. 7. 24. [하루한자] 장막 幕 막 | 텐트 한번쯤 설치해 보셨죠? 햇빛을 가리기 위해 천막이나 장막을 설치해본 경험 있으신 가요? 한자에는 이러한 장막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장막 幕 막'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장막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막 幕 막 = 없다 莫 막 + 수건 巾 건' 입니다. '없다 莫 막'은 없는 것을 표현한 글자로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 입니다. 해가 지는 저녁의 모습을 담은 글자로 풀 숲 아래로 해가 내려가며 크게 보이는 때를 표현하였고 그렇게 해가 지고나면 어두워서 볼 수 '없다'는 뜻 입니다.'장막 幕 막'의 음인 '막'은 '없다 莫 막'의 음인 '막'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幕'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수건 巾 건'은 수건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 2020. 7. 23. [하루한자] 없다 莫 막 | 해가 지는 멋진 모습을 담은 글자 한자에는 '없다'라는 뜻의 글자가 몇개가 있는데요. 그 중 하나인 '없다 莫 막'이라는 글자를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무엇이 없다는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없다 莫 막 = 풀 艹 초 + 해 日 일 + 크다 大 대' 입니다. '풀 艹 초'는 풀을 가리키는 글자인데 본래의 모양은 '艸' 입니다.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에 윗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艹'로 변하기도 합니다. '해 日 일' 하늘에 떠 있는 해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크다 大 대' 크다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래서 '풀'의 뜻과 '해', '크다'의 뜻을 결합하여 '없다 莫 막'을 만들어 낸 것인데그 뜻은 풀(艹) 숲 아래로 해(.. 2020. 7. 2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8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