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루한자] 굴 窟 굴 | 굴에 가보신 분? 굴에 가보신 분 계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 '굴'을 표현한 글자가 있느데요.바로 '굴 窟 굴'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굴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굴 窟 굴 = 구멍 穴 혈 + 굽다 屈 굴' 입니다. '구멍 穴 혈'은 구멍을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집 宀 면 + 八 으로 집(宀)으로 사용하기 위해 파헤쳐진(八) '구멍, 굴'을 뜻합니다. '굽다 屈 굴'은 '주검(몸) 尸 시 + 나다 出 출'로 사람이 비좁은 곳을 나가기 위해 몸을 구부리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굴 窟 굴'의 음인 '굴'은 '굽다 屈 굴'의 음인 '굴'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窟'을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구멍 穴 혈'과 '굽다 屈 굴'을 결합하여 '굴 窟 굴'을 만들.. 2020. 7. 21. [하루한자] 파다 掘 굴 | 땅을 파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땅을 파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땅을 파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파다 掘 굴'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땅을 파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다 掘 굴 = 손 扌 수 + 굽다 屈 굴' 입니다. '손 扌 수'는 손을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이 글자의 본래 모양은 '手' 인데,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인 '扌'로 변하기도 합니다. '굽다 屈 굴'은 '주검(몸) 尸 시 + 나다 出 출'로 몸을 구부리고 나가는 모습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파다 掘 굴'의 음인 '굴'은 '굽다 屈 굴'의 음인 '굴'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掘'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2020. 7. 20. [하루한자] 굽다 屈 굴 | 림보게임 해보셨쥬?~~ 림보게임 한번쯤 해보셨죠?? 몸을 굽히고 장애물을 통과하는 게임인데요. 한자에는 이렇게 몸을 굽히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굽다 屈 굴'이라는 글자인데요. 이글자를 공부하면서 몸을 굽히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굽다 屈 굴 = 몸, 주검 尸 시 + 나다 出 출'입니다. '몸, 주검 尸 시'는 주검(시체)를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리고 사람의 몸을 가리키는 글자이기도 합니다. 영어에서 'body'라는 단어가 신체, 몸을 뜻하기도 하지만 시체를 가리키는 단어인 것과 같은 의미 입니다. 여기서는 '몸'의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나다 出 출'은 나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어떤 장소의 출입구를 그리고 그 밖으로 향하는 발(발자국)을 표시함으로 나가는 .. 2020. 7. 17. [하루한자] 졸하다, 서투르다 拙 졸 | 처음에는 누구나 서투르죠..!! 운전을 하다보면 '초보운전'이라는 표시를 하고 다니시는 분들은 간혹 만나게 되는데요. 그런 분들은 아직 운전이 서투른 분들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서투른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졸하다, 서투르다 拙 졸' 입니다.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서투른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졸하다, 서투르다 拙 졸 = 손 扌 수 + 나다 出 출' 입니다. '손 扌 수'는 손을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手'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扌'로 변하기도 합니다. '나다 出 출'은 밖으로 나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출입구 밖으로 발자국을 표시함으로 밖으로 나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해당.. 2020. 7. 16. [하루한자] 물리치다 黜 출 | 출당 조치라는 말 들어 보셨쥬?? 정치권 뉴스를 보다보면 누구누구를 당에서 출당조치 한다는 이야기를 간혹 들을 수 있는데요. 여기서 '출당'이라고 할 때 '출'이라는 글자는'물리치다 黜 출'이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물리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리치다 黜 출 = 검다 黑 흑 + 나다 出 출' 입니다. 굴뚝의 안쪽에 검게 그을린 것을 나타내어 검은색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해당 글자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검다 黑 흑'은 검은 색을 표현한 부수글자 입니다. 이 글자의 자세한 설명은 해당 글자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나다 出 출'은 밖으로 나가는 것을 표현한 상형 글자 입니다. 장소의 입구를 선으로 표현하고 그 밖으로 사람의 발자국을 표시함으로 밖으로 나가는 것을 나타낸 .. 2020. 7. 15. 나다 出 출 | 문 밖으로 나갈 때 마다 .. 어떤 장소를 출입을 한다고 할때, '출입'에서의 '출'은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글자 입니다.'나다 出 출'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나가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다 出 출'은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이해를 돕기 위해 이 글자의 서체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왼쪽부분이 이글자의 초기 모양인데. 그 모양을 보면 윗부분이 사람의 발바닥의 모양으로 발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그리고 아랫부분에 'U'자 모양은 어떤 장소의 출입구를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즉 사람의 발을 출입구 바깥쪽으로 그려넣음으로 밖으로 나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그래서 발로 걸어 나가는 것을 나타내어 ‘나다, 나오다, 나가다,나타나다'는 뜻입니다. 출입구를 통해 밖으.. 2020. 7. 14. [하루한자] 속이다 欺 기 | 속이다가 들통난 경험이 있으신가요? 거짓말을 하거나 속이다가 들통이 난 경험이 있으신가요? 한자에는 재미있게도 이러한 상황을 담은 글자가 있습니다.바로 '속이다 欺 기'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속이다 欺 기 = 그 其 기 + 하품 欠 흠' 입니다. '그 其 기'는 '그, 그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본래 키질할 때 사용하는 '키'를 본 떠서 만든 글자입니다.'속이다 欺 기'의 음인 '기'는 '그 其 기'의 음인 '기'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欺를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하품 欠 흠'은 하품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사람이 입을 크게 벌리고 하품하는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그런데 오늘 배우는 글자에서는 '하품'의 의미로 결합이 .. 2020. 7. 13. 기약하다 期 기 | 옛날에는 날짜를 이렇게 정했어요~ 특정 날짜를 정해서 사람을 만날 약속을 하거나, 특정 시점을 정해서 그 때까지 목표를 설정하고 집중해 보신 경험이 한번쯤 다 있으실 것 입니다.이번 시간에는 그렇게 특정 날짜를 정해서 기약하는 것을 표현한 '기약하다 期 기'를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약하다 期 기 = 그 其 기 + 달 月 월' 입니다. '그 其 기'는 그, 그것의 뜻이 있는 글자 입니다. 본래 이 글자는 키질 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 '키'의 모양을 본 뜬 상형글자 입니다.(자세한 설명은 해당 글자를 참조하세요~) '기약하다 期 기'의 음인 '기'는 '그 其 기'의 음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期'를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달 月 월'은 달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그, 그것'을 나타내는 '그 其 기'와.. 2020. 7. 10. 터 基 기 | 이런 곳이 터전 입니다. '터전'이라는 말을 종종 사용하는데 '터전'에서 '터'는 바탕, 근본을 나타내는 말 입니다. 한자에는 이러한 바탕, 근본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바로 '터 基 기'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 하면서 '바탕, 근본'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터 基 기 = 그 其 기 + 흙 土 토' 입니다. '그 其 기'는 그, 그것의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그런데 키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상형 글자이기 때문에 이 글자 중심에는 '키'와 같은 도구의 의미도 있는 것 입니다.키는 예전에 아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던 글자 입니다. 곡식을 선별하거나, 물건을 나를때, 무언가 덮어서 보관할 때 등.. '터 基 기'에서는 '其'를 '그'의 뜻으로 해석할 때, '키'의 의미로 해석할 때 그 해석이 약간 달.. 2020. 7. 9. 그 其 기 | 키를 아시나요? 키를 아시나요? 키는 곡식을 선별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데요. 한자에는 이러한 키를 본떠서 만든 글자가 있습니다.바로 '그 其 기'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키의 모양을 어떻게 본 떴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其 기'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어떤 모양을 본 뜬 것이냐면 바로 '키'라는 도구 입니다. 키는 곡식을 선별 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데요. 키를 모르시는 분들은 검색을 해보시거나 영상 설명을 참조하시면 이해가 되실 것 입니다.'其'의 윗 부분이 바로 키의 모양을 위에서 본 모양입니다. 그리고 글자의 아래 부분은 '손맞잡다 廾 공' 입니다. '廾'은 사람의 양손을 본 뜬 글자 입니다. 즉 '其'는 키를 사람이 양손으로 잡고 있는 모양인 것 입니다. 그래서 키와 키를 .. 2020. 7. 8.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8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