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 僧 승 | 스님은 이런 사람입니다.~! 여러분은 스님을 연상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세요?머리를 삭발한 모습, 고기를 안먹는 모습 등 사람마다 그 이미지가 다를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스님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이번시간에 공부할 '중 僧 승' 입니다. '중 僧 승 = 사람 亻 인 + 거듭하다 曾 증' 입니다. '사람 亻 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거듭하다 曾 증'은 시루에서 김이 피어오르는 것과 사람의 입에서 입김이 피어오르는 공통된 모습을 담은 글자로 김이 반복적으로 피어오르는 것을 나타내어 '거듭하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 '중 僧 승'의 음인 '승'은 '거듭하다 曾 증'의 음인 '증'에서 온 것으로 초성 'ㅈ'이 'ㅅ'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글자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僧'을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2020. 3. 16. 더하다 增 증 | 흙으로 두껍이 집 놀이를 해보신 분들은 쉽게 공부할 수 있는.. 누구나 두꺼비집 놀이를 한번쯤 해보신 기억이 있으실 텐데 두꺼비집 놀이를 생각 하면 쉽게 공부할 수 있는 한자가 있습니다.이번 시간에 공부할 '더하다 增 증' 인데요. 글자를 공부하면서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더하다 增 증 = 흙 土 토 + 거듭 曾 증' 입니다. '흙 土 토'는 흙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거듭 曾 증'은 시루에서 김이 피어나는 모습과 사람의 입에서 입김이 피어나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거듭해서 김이 피어나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더하다 增 증'의 음인 '증'은 曾의 음인 '증'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增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흙과 거듭하다가 결합하여 '더하다 增 증'을 만들어 낸 것인데그 뜻은 흙(土)을 거듭하여(曾) .. 2020. 3. 12. 미워하다 憎 증 | 미워하기 전에 일어나는 전조 증상! 다른 사람을 미워해 본 적 있으시죠? 그렇게 미워하기 전에 여러분의 마음에는 어떤 생각이 들어오나요?'미워하다 憎 증'이라는 글자에는 사람을 미워하기 전의 마음 상태를 자세하게 담겨져 있습니다. '미워하다 憎 증 = 마음 忄 심 + 거듭하다 曾 증' 입니다. '마음 忄 심'은 마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心' 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忄' 바뀌기도 합니다. '거듭하다 曾 증'은 시루에서 김이 피어나는 모양과 사람의 입에서 입김이 피어나는 모양을 담은 글자 입니다. 그 김과 입김이 거듭하면서 피어나는 것을 나타내어 '거듭'이라는 뜻의 글자가 된 것 입니다. '미워하다 憎 증' 에서의 음인 '증'은 '거듭하다 曾 증'의 음인 '증'에.. 2020. 3. 4. 거듭 曾 증 | 시루를 본 떠 만든 글자 시루를 아시나요? 시루는 떡시루, 콩나물 시루라고 할 때 나오는 그 시루 입니다.한자에는 이 시루를 본 떠서 만든 글자가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 공부할 '거듭 曾 증' 입니다. 시루와 거듭하는 것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듭 曾 증'은 상형의 원리로 만든 글자 입니다.상형의 원리가 사물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원리인데 글자의 모양을 보시면 사물의 모양이 떠 오르시나요? 아마 잘 떠오르지 않으실 것 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 글자의 서체 변화를 보면 이 서체 변화 자료에서 가장 왼쪽의 모습이 '거듭 曾 증'의 초기 모양 입니다. 초기 모양의 세로로 표시된 2개의 세로획은 증기, 김이 피어오르는 모습을 나타낸 것 입니다.그리고 그 아래에 있는 田 의 모습은 '시루'의 모습을 나.. 2020. 3. 3. 세우다 建 건 | 건물주, 건축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글자 집을 짓는 것은 '건축'이라고 하죠? 또 많은 분들이 되고 '건물주'가 되고 싶어 하시는데 건축과 건물주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글자인 '세우다 建 건'을 공부하면서 세우다는 표현을 어떻게 한 것인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우다 建 건 = 길게 걷다 廴 인 + 붓 聿 율' 입니다. '길게 걷다 廴 인'은 걸음 걸이를 길게, 즉 보폭을 크게 하며 멀리멀리 가는 것을 나타낸 부수글자 입니다. '붓 聿 율'은 붓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길게 걷는것과 붓을 결합하여 '세우다 建 건'이라는 글자를 만들어 낸 것인데길게 걷다와 붓이 결합하여 세우다는 뜻을 만들었다는 것을 보면 전혀 어울리지도 않고 이해가 잘 안되실 것 입니다.이 글자에서의 '붓 聿 율'은 붓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붓으로 글을.. 2020. 2. 27. 깃발 幟 치 | 전투중에 사용하던 깃발의 용도는? 전쟁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전투중에 아군끼리 무전을 하는 모습을 보신 경험이 있으실 것 입니다. 그런데 무전 기술이 발달 하지 않았던 옛날에는 전투중에 어떻게 통신을 하였을 까요?이번 시간에 공부할 '깃발 幟 치'를 공부하며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깃발 幟 치 = 수건 巾 건 + 찰흙, 바디소리 戠 시' 입니다. '수건 巾 건'은 수건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찰흙, 바디소리 戠 시'는 찰흙과 바디소리라는 2개의 뜻이 있는데 이번 시간에 공부하는 글자에서는 '바디소리'의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바디소리'는 베틀로 실을 짤때 베틀에서 나는 소리를 말하는 것으로 '착착착'이런 소리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찰흙, 바디소리 戠 시 = 소리 音 음 + 창 戈 과'로 창의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이나 그.. 2020. 2. 25. 짜다 織 직 | 바느질을 할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한자에는 천을 짜는 모습을 담은 글자가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 공부할 '짜다 織 직' 입니다.'짜다 織 직'을 공부하면서 천을 짜는 것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짜다 織 직 = 실 糸 사 + 찰흙, 바디소리 戠 시' 입니다. '실 糸 사'는 실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찰흙, 바디소리 戠 시'는 찰흙의 뜻과 바디소리의 뜻이 있는 글자로 바디소리는 베틀로 천을 짤 때 베틀에서 나는 소리를 바디소리라고 합니다.(착착소리)'찰흙, 바디소리 戠 시 = 소리 音 음 + 창 戈 과'로 창의 소리를 가리키는 글자 입니다. 창의 소리는 창과 창이 부딪치며 나는 소리(챙챙)인데 그 소리가 마치 베틀에서 나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바디소리'라는 뜻을 가지게 된 것이고 찰흙이라고 해석할 때에.. 2020. 2. 21. 성하다 熾 치 | 나무에 불이 타는 모습을 볼 때마다 배울 수 있는. 한자에 불이 타오르는 것을 표현한 글자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 이번 시간에 공부할 '성하다 熾 치'도 불이 타오르는 것을 표현한 글자인데요.'성하다 熾 치'는 불이 타오르는 것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글자를 공부하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성하다 熾 치 = 불 火 화 + 찰흙, 바디소리 戠 시' 입니다. '불 火 화'는 불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찰흙, 바디소리 戠 시'는 찰흙이라는 뜻과 바디소리라는 뜻이 있는 글자인데 이번 시간에 배우는 글자에서는 '바디소리'라는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바디소리'는 베틀에서 실로 천을 짤때 베틀에서 나는 소리를 말합니다. 베틀을 이용하여 천을 짤때 '착착'이런 소리가 나는데 바로 그소리가 '바디소리' 입니다.'찰흙, 바디소리 戠 시 = 소리 音 음 + 창 .. 2020. 2. 20. 직분 職 직 | 한자가 말하는 인재 선발 기준 누구나 좋은 직업, 직책을 얻기를 희망합니다.한자에는 어떤 사람에게 직분을 주었는지 그 기준을 담아놓은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직분 職 직'이라는 글자 입니다.글자를 공부하면서 그 기준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직분 職 직 = 귀 耳 이 + 찰흙, 바디소리 戠 시' 입니다. '귀 耳 이'는 귀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귀는 소리를 듣는 기능을 하는 감각 기관이므로 이 글자는 '듣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찰흙, 바디소리 戠 시'는 찰흙과 바디소리를 나타낸 글자인데 바디 소리라는 것은 배틀을 이용하여 실로 천을 짤때 그 배틀에서 나는 소리('착착')를 바디소리라고 합니다.'찰흙, 바디소리 戠 시 = 소리 音 음 + 창 戈 과'로 이 글자 자체가 가리키는 것은 창의 소리를 가리킵니다. 창의 .. 2020. 2. 19. 알다 識 식 | 한자가 알려주는 최고의 공부법 !!! 많은 분들이 공부 잘하기를 희망 하시죠?한자에는 재미있게도 공부하는 방법을 담아 놓은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이번에 공부할 '알다 識 식' 이라는 글자인데요. 글자를 공부하면서 효과적인 공부법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다 識 식 = 말씀 言 언 + 찰흙, 바디소리 戠 시' 입니다. '말씀 言 언'은 말의 높임말인 말씀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찰흙, 바디소리 戠 시'는 찰흙의 뜻과 바디소리라는 뜻이 있는 글자인데 '바디소리'는 실로 천을 짤때 사용하던 배틀에서 나는 소리 배틀로 천을 짤 때 나는 '착착착' 이정도의 소리를 가리키는 것 입니다. '찰흙, 바디소리 戠 시 = 소리 音 음 + 창 戈 과' 입니다. 이 글자 자체가 나타내는 의미는 '소리와 창'이라는 뜻이 결합한 것이니 '창의 소리'를 .. 2020. 2. 18.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8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