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루한자] 다스리다 治 치 | 정치의 근본은 이것 ! 요즘 총선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시는 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정치가 근본으로 삼아야 하는 것을 담아 놓은 글자가 있습니다.이번 시간에 공부 할 '다스리다 治 치'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정치는 무엇을 근본으로 삼아야 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스리다 治 치 = 물 氵 수 + 기르다 台 이' 입니다. '물 氵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기르다 台 이'는 '별이름 태' 라고도 하는 글자인데 그 중심의미가 임신한 여성이 그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며 입가에 웃음을 띄우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그 뜻은 '별 이름, 대감, 늙은이, 기르다'등의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기르다'는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또한 이 글자의 음은 '태, 이' 이렇게 2개를 가진 이중.. 2020. 4. 13.
[하루한자] 비롯되다 始 시 | 닭과 달걀 중 어느 것이 먼저 일까요? 닭과 달걀 중 어느 것이 먼저 일까요? 이런 질문 들어 보신 경험이 있으실 것 입니다.재미 있게도 한자에는 이 질문에 참고할 만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비롯되다 始 시'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 하면서 힌트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롯되다 始 시 = 여자 女 여 + 별 이름 台 태' 입니다. '여자 女 여'는 여자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별 이름 台 태'는 여성이 태아를 임신하고 그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는 모습을 담은 글자로 '별 이름, 늙은이, 대감, 기르다'등의 뜻이 있고 그 음도 '태, 이'가 있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이 글자의 중심의미와 '이' 음으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비롯되다 始 시'의 음인 '시'는 '기르다 台 이'의 음인 '이'에서 온 것으로 초성 'ㅇ' 이 'ㅅ'으로.. 2020. 4. 8.
[하루한자] 기쁘다 怡 이 | 여러분들의 가장 기쁜날은 언제 셨나요? 여러분은 언제 가장 기쁘셨나요?진학을 앞에 두고 공부하는 학생들은 원하는 학교에 합격 했다는 소식을 들을 때 기쁠 것 입니다.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도 입사 합격 소식을 들을 때 기쁠 것이고, 군대에서 군 생활 하시는 장병들은 전역하는 날 기쁠 것 입니다. 한자에는 이렇게 기쁜날을 담은 글자가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 공부할 '기쁘다 怡 이'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언제를 기쁘다고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쁘다 怡 이 = 마음 忄 심 + 별 이름 台 태' 입니다. '마음 忄 심'은 사람의 마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心'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 시 그 모양이 변하기도 합니다. '별 이름 台 태'는 산모가 태아를 잉태하고 그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며 미소를 짓는 모습을 담.. 2020. 4. 7.
밟다 跆 태 | 발길질을 가장 잘하는 사람은? 발길질을 가장 잘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아시나요? 한자에는 발길질을 하는 사람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밟다 跆 태' 인데요. 글자를 공부하면서 어떤 사람의 모습을 담은 글자인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밟다 跆 태 = 발 足 족 + 별 이름 台 태' 입니다. '발 足 족'은 발을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별 이름 台 태'는 '별 이름, 늙은이, 기르다, 대감' 등의 뜻이 있는데, 이번에 공부하는 글자에서는 이 글자의 중심의미인 '산모의 뱃속에 있는 태아'의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밟다 跆 태'의 음인 '태'는 '별 이름 台 태'의 음인 '태'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밟다 跆 태'를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태아'와 '발'이 결합하여 '밟다 跆 태'를 .. 2020. 4. 6.
[하루한자] 태풍 颱 태 | 태풍 예보를 보시면서 배울 수 있는 글자 여름철 일기예보를 통해 '태풍' 소식을 접할 수 있는데 그 태풍은 세력을 확장하기도 하고 소멸 되어가기도 하는 것을 접해 보셨을 것 입니다.한자에는 이러한 태풍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태풍 颱 태' 를 공부하면서 한자에서는 태풍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태풍 颱 태 = 바람 風 풍 + 별 이름 台 태' 입니다. '바람 風 풍'은 바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별 이름 台 태'는 '별 이름, 대감, 늙은이, 기르다'등의 뜻을 가진 글자로 이 글자는 산모가 뱃속의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며 웃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하는 글자에서는 '별 이름'의 뜻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라 산모와 태아의 모습을 담은 중심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태풍 颱 태'의 음인 '.. 2020. 4. 4.
아이배다 胎 태 | 임산부의 특징을 담은 글자. 임신한 여성의 가장 큰 특징은 커다란 배가 눈에 띄는 신체적 특징 입니다.한자에는 이렇게 임신한 것을 나타내는 글자가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 공부할 '아이배다 胎 태' 입니다. '아이배다 胎 태 = 고기 月(肉 의 변형) 육 + 별 이름 台 태' 입니다. '고기 肉 육'은 고기를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고기를 가리키는 글자이지만 사람의 '몸, 신체'의 의미로도 사용이 됩니다.오늘 배우는 글자에서는 '몸, 신체'의 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별 이름 台 태'는 태아를 가진 여성이 웃는 모습을 담은 글자로 '별 이름, 기르다, 늙은이'등의 뜻이 있는데요. 여기서는 태아를 가진 여성 이라는 중심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아이배다 胎 태'의 음인 '태'는 台의 음인 '태'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 2020. 3. 31.
위태하다 殆 태 |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위태로운 상황 '위태하다'는 말을 들으면, 병원 응급실에서 목숨이 경각에 달린 환자의 모습이 연상이 되는데요. 한자에서는 '위태하다'는 표현을 어떻게 했는지 '위태하다 殆 태'를 공부하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태하다 殆 태 = 뼈 앙상하다 歹 알 + 별 이름 台 태' 입니다. '뼈 앙상하다 歹 알'은 뼈가 앙상하게 남은 것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해골을 연상하시면 되는데요. 이 글자는 죽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사람이 병에 들어 파리해진 모습을 표현 하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병이 들어 파리해진 모습'의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별 이름 台 태'는 임신한 여성이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며 미소를 띄우는 모습을 담은 글자입니다. 그리고 그 뜻은 '별 이름, 별, 대감, 늙은이, 기르다'등이 있는데여기서는 '늙.. 2020. 3. 30.
게으르다 怠 태 | 가장 게으른 사람은.... 게으르다 하면 늦잠을 자는 모습, 행동이 굼뜨는 모습등이 생각이나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런 '게으른'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바로 '게으르다 怠 태'인데요. 한자에서는 게으르다는 것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으르다 怠 태 = 별이름 台 태 + 마음 心 심' 입니다. '별이름 台 태 = 아들 厶 자(子의 변형) + 입 口 구'로 '별 이름, 기르다, 늙은이'등의 여러가지 뜻이 있는데요. 여기서는 이 글자의 중심의미인 아이를 가진 임산부의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게으르다 怠 태'의 음인 '태'는 '별이름 台 태'의 음인 '태'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怠를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마음 心 심'은 마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임산부와 마음의 뜻을.. 2020. 3. 25.
별이름 台 태 | 삼신할머니를 아시나요? 삼신할머니를 아세요? 삼신할머니는 태어날 아기들을 점지해 준다는 전설 속의 할머니 입니다.한자에는 이와 관련된 글자가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 공부할 '별이름 台 태' 입니다. '별이름 台 태 = 厶 + 입 口 구' 입니다. '厶'는 그 모양을 보면 '사사로울 厶 사'와 그 모양은 동일하나 같은 글자가 아닙니다. 이것은 '아들 子 자'의 윗부분을 180도 회전한 모양 입니다.'아들 子 자'의 윗 부분은 아이의 머리 부분인데 이 부분을 180도 회전 함으로 태아가 엄마의 뱃속에서 거꾸로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 입니다. '입 口 구'는 사람의 입을 나타낸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태아를 가리키는 윗 부분과 '입 口 구'를 결합하여 '별이름 台 태'를 만들어 낸 것인데그 뜻은 결혼을 한 여성이 태아가 뱃속에서 .. 2020. 3. 24.
층 層 층 | 여러분은 몇 층에 사세요? 여러분은 몇 층에 사세요? 저는 5층에 살고 있는데요. 우리가 통상 건물의 높이를 말할때 '몇층 건물'의 식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 '몇 층'이라고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층 層 층'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니다. '층 層 층 = 집 尸 (屋의 획 줄임) 옥 + 거듭 曾 증' 입니다. '집 屋 옥 = 몸, 주검 尸 시 + 이르다 至 지 ' 입니다. 일을 마치고 지친 몸(尸)을 쉬기 위해 이르는(至) 곳을 나타내어 '집'이라는 뜻 입니다. 여기에서는 屋이 결합을 하면서 아랫부분의 글자가 생략이 된 것입니다. '거듭 曾 증'은 거듭하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층 層 층'의 음인 '층'은 '거듭 曾 증'의 음인 '증'에서 온 것으로 초성'ㅊ'이 'ㅈ'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글자로 이러한 이유.. 2020.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