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주 藝 예 | 이정도는 되야 재주라 하죠.. 여러분은 어떤 재주를 가지고 계신가요? 한자에는 재주를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재주 藝 예'라는 글자 입니다. '재주 藝 예 = 풀 艹 초 + 심다 埶 예 + 구름, 말하다 云 운' 입니다. '풀 艹 초'는 풀을 나타내는 글자 인데, 본래 모양은 '艸' 이지만 이 글자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윗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艹'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심다 埶 예'는 나무를 심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지난 영상, 게시물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재주 藝 예'의 음인 '예'는 '심다 埶 예'의 음인 '예'에서 온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재주 藝 예'를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구름, 말하다 云 운'은 구름을 나타내기도 하고 말하다는 뜻도 있는 글자 입니다. 본.. 2020. 5. 14.
권세 勢 세 | 요즘은 어떤 것이 대세 인가요? 흔히들 '대세'라는 말을 종종하는데요. 대세라고 할 때에 '세'라는 글자는 힘을 나타내는 '권세 勢 세' 입니다.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힘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권세 勢 세 = 심다 埶 예 + 힘 力 력' 입니다. '심다 埶 예 = 땅덩이 坴 륙 + 잡다 丸 극' 입니다. 이 글자는 땅덩이를 파고 그 안에 묘목을 심는 것을 나타내어 '심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권세 勢 세'의 음인 '세'는 '심다 埶 예'의 음인 '예'에서 온 것으로 초성 'ㅇ'이 'ㅅ'으로 변한 특징을 가진 글자로 이러한 이유로 '권세 勢 세'를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힘 力 력'은 힘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심다 埶 예'와 '힘 力 력'이 결합하여 '권세 勢 세'를 만들어 낸 것인데.. 2020. 5. 12.
심다 埶 예 | 나무 심는 모습을 담은 글자. 여러분 혹시 나무를 심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한자에는 나무심는 모습을 그대로 담은 글자가 있습니다. '심다 埶 예'를 공부하면서 나무심는 모습을 어떻게 담아 놓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다 埶 예 = 땅덩이 坴 륙 + 잡다 丸 극 ( 2020. 5. 11.
[하루한자] 화목하다 睦 목 | 화목한 상태를 담은 글자 모든 사람이 화목하게 살기를 희망하실 텐데요. 한자에는 화목한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화목하다 睦 목'인데요.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화목한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목하다 睦 목 = 눈 目 목 + 땅덩이 坴 륙' 입니다. '눈 目 목'은 사람의 눈을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화목하다 睦 목'의 음인 '목'은 '눈 目 목'의 음인 '목'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화목하다 睦 목'을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땅덩이 坴 륙 = 버섯 圥 록 + 흙 土 토'입니다. 버섯이 땅위에 볼록하게 솟아 있는 것 같이 흙이 볼록하게 올라와 있는 그러한 땅덩이를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래서 '눈 目 목'과 '땅덩이 坴 륙'이 결합하여 '화목하다 睦 목'을 만들어낸 것인데그.. 2020. 5. 4.
[하루한자] 뭍, 육지 陸 륙 | 바다가 육지라면... 우주에서 지구를 찍은 사진을 보면, 우리가 사는 지구는 바다와 육지로 크게 나뉩니다. 한자에는 이런 육지를 나타내는 글자가 있는데요. '뭍, 육지 陸 륙'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육지를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뭍, 육지 陸 륙 = 언덕 阝 부 + 땅덩이 坴 륙' 입니다. '언덕 阝 부'는 언덕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阜'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글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阜 -> 阝'로 변하기도 합니다. '땅덩이 坴 륙 = 버섯 圥 록 + 흙 土 토' 입니다. 버섯이 땅 위로 볼록 하게 올라온 것 같이 주변의 땅에 비해 볼록 하게 올라와 있는 땅덩이를 말합니다. '뭍, 육지 陸 륙'의 음인 '륙'은 '땅덩이 坴 륙'.. 2020. 4. 28.
[하루한자] 치우치다 偏 편 | 항상 치우쳐 있는 것은? 주위에 보면 그 생각이나 행동이 한쪽으로 치우쳐 계신 분들은 간혹 보게 됩니다.그런데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치우쳐 있는 사람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치우치다 偏 편'이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치우쳐 있는 사람을 어떠하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치우치다 偏 편 = 사람 亻 인 + 작다 扁 편' 입니다. '사람 亻 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작다 扁 편'은 집안에서 문위에 위치하고 있는 현판을 나타내는 글자인데요. 그 현판의 크기가 집에 비해 작기 때문에 '작다'는 뜻이고 그리고 그 모양이 넓은 직사각형 모양이므로 '넓다'는 뜻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작다, 넓다'는 뜻으로 결합한 것이 아니라 현판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의미가 결합이 된 것 입니다... 2020. 4. 24.
[하루한자] 엮다 編 편 | 죽간을 만드는 방법 ! 지난 시간 대나무로 죽간을 만드는 것을 담아 놓은 글자를 공부하였는데, 그 죽간을 만드는 방법을 담은 글자도 있습니다. 바로 '엮다 編 편' 인데요. 글자를 공부하면서 죽간을 만든 방법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엮다 編 편 = 실 糸 사 + 작다 扁 편' 입니다. '실 糸 사'는 실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작다 扁 편'은 현판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현판의 크기가 집의 크기에 비해 작기 때문에 '작다'는 뜻이고, 현판의 모양은 가로로 넓은 직사각형 모양이므로 '넓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현판에는 가훈, 좋은 글등을 적어 집안에 걸어 놓는데, 이번 글자에서는 좋은 글을 적어 놓은 것을 나타내는 중심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엮다 編 편'에서의 음인 '편'은 '작다 扁 편'의 음인 '편'에서 .. 2020. 4. 22.
[하루한자] 책 篇 편 | 죽간을 아시나요? 종이의 발명 이전에는 죽간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기록을 하였는데요. 한자에는 그 죽간을 무엇으로 만들었는지 알려주는 글자가 있습니다.'책 篇 편' 이라는 글자인데요. 어떤 재료를 이용하여 죽간을 만들었는지 글자를 공부하며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책 篇 편 = 대나무 竹 죽 + 작다 扁 편' 입니다. '대나무 竹 죽'은 대나무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의 윗 부분에 위치할 때, 그 모양이 위 아래로 줄어들게 됩니다. '작다 扁 편'은 현판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현판에는 보통의 경우 가훈을 적거나 교훈적인 글들을 적고 걸어 두는데 이 글자에서는바로 그렇게 좋은 글이 적은 중심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책 篇 편'의 음인 '편'은 '작다 扁 편'의 .. 2020. 4. 21.
[하루한자] 두루 遍 편 | 어떤 소식이 잘 퍼져 나갈까요? 요즘은 어떤 소식이나 정보가 SNS 을 통해 빠르게 퍼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재미있게도 한자에도 어떤 좋은 말이나 정보가 퍼져나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두루 遍 편'이라는 글자인데요. 글자를 공부하면서 정보가 퍼져 나가는 것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두루 遍 편 =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작다 扁 편' 입니다. '쉬엄쉬엄가다 辶 착'은 쉬엄쉬엄가는 것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쉬엄쉬엄가는 것은 가다쉬다 가다쉬다를 반복하는 것인데요. 그렇게 가는 것도 가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다'로 해석 됩니다. '작다 扁 편'은 현판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현판은 집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작다'는 뜻이 있고, 그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넓기 때문에 .. 2020. 4. 20.
[하루한자] 작다 扁 편 | 현판을 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거리를 걷다보면 주위에 상점들이 참 많이 있죠? 그렇게 많은 상점들의 공통점은 바로 간판 입니다. 상점들의 모습은 다르지만 모두 간판이 있는데요. 한자가 만들어지던 시대의 거리에는 지금과 같은 간판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집집마다 또는 큰 건물에는 '현판'이라는 것이 있었는데요. 한자에는 이러한 현판을 가리키는 글자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작다 扁 편' 이라는 글자인데요. 글자를 공부하면서 현판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작다 扁 편 = 지게문 戶 호 + 책 冊 책' 입니다. '지게문 戶 호'는 지게문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지게문이라는 것은 문의 한 종류 입니다. 요즘에는 양문형 냉장고라고 해서 냉장고 문을 양쪽으로 열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를 흔히 볼 수 있는데요. .. 2020.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