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루한자] 억제하다 制 제 | 나뭇가지 잘라본적 있으신가요? 나뭇가지를 잘라본 경험 있으십니까?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나무를 자르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억제하다 制 제'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나뭇가지를 자르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制 = 아니다 未 미 + 칼 刂 도 아니다 未 미 : 아니다, 아직 ~ 하지 못하다, 미래 의 뜻을 가진 글자로 '나무 木 목 + 一 ' 입니다. 나무의 가지가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나타낸 글자로 '一'은 나뭇가지 입니다. 나뭇가지가 한창 자라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아직 다 자라지 않은 것을 나타내어 '아직 ~ 하지 못하다'는 뜻이고 다 자란 나무가 '아니다'는 뜻입니다. 칼 刂 도 : 칼, 자르다 의 뜻을 가진 글자로 칼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부.. 2023. 10. 18.
[하루한자] 의지하다 賴 뢰 | 무엇엔가 의지해본적 있으신가요? 어딘가에 의지해본 경험 있으십니까?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의지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이번 시간에 공부할 '의지하다 賴 뢰'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의지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賴 = 어그러지다 剌 랄 + 조개 貝 패 어그러지다 剌 랄 : '어그러지다, 어지럽다' 의 뜻을 가진 글자로 '묶다 束 속 + 칼 刂 도' 입니다. 묶어 있는 물건(束)을 칼(刂)로 풀어서 놓는다고 해서 '어그러지다'는 것이고 물건을 풀어 놓으니 '어지럽다'는 뜻입니다. 조개 貝 패 : '조개'를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할 때에는 대부분 '돈'이라는 의미로 결합이 됩니다. 여기서도 '돈'의 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그래서 '어그러지다.. 2023. 10. 17.
[하루한자] 갖추다 備 비 | 화살 담긴 화살통을 보셨나요? 화살통에 화살이 담겨있는 모습 보신적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화살통에 화살이 담긴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갖추다 備 비'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화살통에 화살이 담긴 모습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備 = 사람 亻 인 + 갖추다 𤰇 비 사람 人 인 :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다른글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亻'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갖추다 𤰇 비 : 화살통에 화살이 담긴 모양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화살통에 화살을 갖추고 있다는 데에서 '갖추다'는 뜻 입니다. '갖추다 備 비 ' 는 무사나 사냥꾼(亻)이 화살을 쏘려고 화살통에 화살을 많이 담아둔 것(𤰇)을 나타내어 ‘갖추다' 는 .. 2023. 10. 11.
[하루한자] 아프다 痛 통 | 아파서 부은적 있으셨나요? 몸이 아파서 부어 본 경험 한번쯤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몸이 아파 부은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아프다 痛 통'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아픈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痛 = 병들다 疒 녁 + 종 甬 용 병들다 疒 녁 : 병든 것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사람이 침상(丬)에 아파서 누워(亠) 있는 옆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그래서 '병들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종 甬 용 : 이 글자 또한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종'의 둥근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그래서 '종'이라는 뜻이 있고, 종이 울려 퍼지듯 '물이 솟아오르다'는 뜻이며, 종소리가 울려 퍼지듯 사람들이 퍼져 나.. 2023. 10. 4.
[하루한자] 모, 싹 苗 묘 | 밭에 올라온 새싹들 보셨죠? 논, 밭에 새싹이 올라와 있는 모습을 보신적 있으십니까?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논, 밭에 새싹이 올라와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모, 싹 苗 묘'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논, 밭에 올라온 새싹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苗 = 풀 艹 초 + 밭 田 전 풀 艹 초 : 풀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땅 위로 싹이 올라온 모양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艸 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의 윗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艹처럼 바뀌기도 합니다. 밭 田 전 : 밭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글자의 모양과 같이 밭의 모양으로 '논, 밭'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그래서 '풀 艹 초'와 '밭 田 전'을 결합하여 '.. 2023. 9. 27.
[하루한자] 들보, 다리 梁 량 | 나무로 만든 다리 보셨죠? 나무로 만들어진 다리를 보신적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나무를 이용해서 만든 다리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들보, 다리 梁 량' 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나무를 이용해서 만든 다리를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梁 = 물 氵 수 + 상처 刅 창 + 나무 木 목 물 氵 수 : '물 氵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水'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모양이 '氵'로 바뀌기도 합니다. 상처 刅 창 : 상처 刅 창은 칼날(刃)을 나타내는 '칼날 刃 인'에 점(丶)을 더해준 것으로 칼날(刃)에 의해 베인 상처를 점(丶)으로 표시해 줌으로 '상처'를 나타내고 있는 글자 입니다.. 2023. 9. 26.
[하루한자] 낮 晝 주 | 해가 떠있는 시간은? 하루 중에서 해가 떠 있는 밝은 때를 낮이라고 하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낮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낮 晝 주'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낮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晝 = 붓 聿 율 + 아침 旦 단 붓 聿 율 : 붓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丨(붓) + 彐(사람의 손) + 一 (글) + 一 (종이)' 입니다. 즉 사람이 손에 붓을 들고 종이 위에 글을 적는 모습을 그대로 표현한 글자 입니다. 아침 旦 단 : 하루중 아침을 나타내는 글자로 지사의 원리로 만든 글자 입니다. '一 (지평선) + 日(해)' 로 이른 아침 지평선 위로 해가 떠 오르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래서 '붓 聿 율'과 '아침 旦 단'을.. 2023. 9. 22.
[하루한자] 내쫓다 逐 축 | 멧돼지 출몰 기사를 본적 있으시죠? 멧돼지가 출몰했다는 뉴스 보신적 있으시죠? 멧돼지가 출몰하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내쫓게 되는데 이렇게 멧돼지를 내쫓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내쫓다 逐 축'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멧돼지를 내쫓는 것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逐 = 쉬엄쉬엄가다 辶 착 + 돼지 豕 시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이 글자는 말 그대로 가다쉬다 하면서 가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辵' 이지만 다른글자와 결합 할 때 그 모양인 辶으로 변형 됩니다. '쉬엄쉬엄가는것'도 결국 가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다'라는 뜻으로 결합이 됩니다. 돼지 豕 시 : 돼지의 옆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돼지의 머리, 등, 네 발, 꼬리 모양. 그래서 '쉬엄.. 2023. 9. 21.
[하루한자] 기르다, 치다 牧 목 | 목동과 소들 보셨나요? 넓은 들판에서 소나 양과 같은 동물들을 기르는 모습을 보신적 있으십니까?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소나 양과 같은 동물들을 기르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기르다, 치다 牧 목'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소나 양과 같은 동물들을 기르는 것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牧 = 소 牛 우 + 두드리다, 치다 攵 복 소 牛 우 : 동물 중에 소를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소의 얼굴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치다 攵 복 : 손에 막대기, 회초리 같은 것을 손에 들고 무언가를 두드리거나 치는 것을 나타낸 부수글자 입니다. '丿(막대기) + 손 又 우' 그래서 '소 牛 우'와 '치다, 두드리다 攵복' 을 결합하여 '기르다, 치다 牧 목'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 2023. 9. 20.
[하루한자] 사납다, 모질다 虐 학 | 호랑이 발톱 보셨나요? 호랑이의 발톱을 보신적 있으십니까?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호랑이의 발톱을 통해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사납다, 모질다 虐 학' 이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호랑이 발톱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虐 = 호피무늬 虍 호 + 손톱 爪 조 호피무늬 虍 호 : 범의 무늬, 호피무늬 라는 뜻의 부수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범의 줄무늬가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범의 무늬라는 뜻이지만 '호랑이, 범, 맹수'의 의미로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손톱 爪 조 : 새의 날카로운 발톱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로 '손톱'의 뜻이 있고 새의 발톱은 사람의 손과 같은 기능을 하므로 '손'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주로 '손톱, .. 2023. 9.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