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루한자] 장사, 헤아리다 商 상 | 장사하는 모습 보신적 있으시죠? 장사 商 상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주위에 보면 장사를 하시거나 영업을 하시는 분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장사를 하시거나 영업하시는 분들의 모습을 보면 자신이 취급하는 물건을 판매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을 하는데 바로 이러한 모습을 담은 글자가 '장사, 헤이라다 商 상' 입니다. 이 글자는 글자의 뜻에 따라 2가지 해석 방법이 있습니다. 1. '장사'의 뜻으로 해석할때 '장사 商 상 = '말씀 言 언 + 밝다, 빛나다 冏 경' 입니다. '말씀 言 언'은 말씀을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말씀, 말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商' 에서 冏을 뺀 나머지 부분이 '말씀 言 언' 입니다. 본래 '言' 모양에서 결합을 하면서 그 모양이 변형이 된 것 입니다. '밝다 冏 경'은 밝은 것을 나타.. 2023. 3. 27.
[하루한자] 모두, 다 皆 개 | 여러사람과 함께 찬성의 말을 해보신 경험 있으시죠? '모두, 다 皆 개'라는 한자를 알아 보겠습니다. 여러 사람이 함께 어떤 의견에 찬성하거나 동의 하는 모습 한번 쯤 보신 경험이 있으시죠? 이런 상황을 그대로 문자화한 글자가 바로 '모두, 다 皆 개' 입니다. '모두, 다 皆 개 = 견주다 比 비 + 희다, 말하다 白 백' 입니다. '견주다 比 비'는 '匕 + 匕'입니다. '비수 匕비'는 비수라는 뜻이 있지만 또 하나의 아주 중요한 '사람'의 의미도 있는 글자 입니다. 그래서 '比'는 두 사람 이상의 사람을 견주어 비교하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견주다는 뜻으로 결합 된 것이 아니라 '比'의 중심의미인 '여러사람'의 뜻으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희다, 말하다 白 백'은 많은 분들은 '희다'는 뜻으로 잘 알고 계신 글자인데 이 글자에도 '.. 2023. 3. 25.
[하루한자] 모이다 社 사 | 제사 구경해 보셨죠? 큰 행사나, 큰 제사에 구경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모습 보신적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을 나타낸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모이다 社 사'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이다 社 사 = 보이다 示 시 + 흙 土 토' 입니다. '보이다 示 시'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제단과 그 제단위에 제물에 있는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그래서 제물을 신에게 '보이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 대부분 '제사'의 의미로 결합이 됩니다. '흙 土 토'는 흙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흙이라는 뜻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라 '장소'의 의미로 결합.. 2022. 7. 22.
[하루한자] 다하다 極 극 : 여럿이 함께 무거운 짐을 들어본 경험 있으시죠? 무거운 짐이나 물건을 여러명이 함께 들어본 경험이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여럿이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것을 나타낸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다하다 極 극'이라는 글자인데요. 이글자를 공부하면서 여럿이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하다 極 극 = 나무 木 목 + 빠르다 亟 극' 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땅에 심겨져 자라는 나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을 할 때 사용되는 용마루와 같은 무거운 건축자재쯤으로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빠르다 亟 극'은 '두 二 이 + 사람 人 인 + 입 口 구 + 오른손 又 우' 입니다. 두사람 이상이 함께 입으로 구호를 외치며 손을 움직여 어려운 일을 .. 2022. 6. 28.
[하루한자] 빠르다 亟 극 | 여러명이 영차영차 해본적 있으시죠? 혼자하기 어려운 일을 여러명이 함께 해서 그 일의 능률과 속도가 빨라진 경험 한번쯤 있으실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공동작을을 통해 일의 속도가 빨라진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빠르다 亟 극'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빠르다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빠르다 亟 극 = 두 二 이 + 사람 人 인 + 입 口 구 + 손(오른손) 又 우' 입니다. '두 二 이' 는 숫자 2를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亟'의 위 아래 가로획에 해당하는 부분 입니다. '사람 人 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여기서는 '亟'의 세로로 구부러지면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획으로 중앙 부분 입니다. '입 口 구'는 사람의 입을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먹다, 말하다'는 의.. 2022. 6. 22.
[하루한자] 오래다, 오래되다 久 구 | 오래 머무른 경험 있으시죠? 모임이나 다른 분들과 함께 하는 자리에서 조금 더 함께 하자고 권유를 받아보신 경험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상황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오래다, 오래되다 久 구'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래되다 久 구 = 사람 人 인(초기모양) + 乀 (잡아당기는 동작)' 입니다. 한글에서 'ㄷ' 모양을 비스듬히 뒤집어 놓은 듯한 왼쪽 부분이 '사람 人 인'의 초기 모양 입니다. 즉 사람을 의미하는 부분입니다. 오른쪽에 '乀' 의 부분은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비스듬히 내리뻗은 부분은 뒤에서 잡아 당기는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과 뒤에서 잡아당기는 모습을 결합하여 '오래다, 오래되다 久 구'를 만들어낸 것.. 2022. 5. 11.
[하루한자] 가다 往 왕 | 우리 모두는 오고가며 생활하죠?? 어딘가에 가고 다시 돌아오고 그렇게 오고가며 우리모두는 생활을 하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가다 往 왕'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가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다 往 왕 = 자축거리다 彳 척 + 무성하다 主(㞷) 왕' 입니다. '자축거리다 彳 척'은 불편한 상태로 걸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절룩 거리기도 하고 다리를 끌며 가는 것을 말하는 데 그렇게 가는 것도 결국 가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다'로 해석이 됩니다. 여기서도 '가다'는 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무성하다 主(㞷) 왕'은 여기서는 그 모양이 '주인 主 주'와 동일하나 '주인 主 주'가 아니라 '무성하다 㞷 왕'의 변형 입니다. '무성하다 㞷 왕.. 2022. 4. 23.
[하루한자] 의지하다 依 의 | 모두가 의지하는 것은? 사람은 대부분 의지하며 살아가죠? 어떤 분들은 가족에게 의지하고, 어떤 분들은 종교, 어떤 분들은 자기자신, 심지어 물질에 까지..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의지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의지하다 依 의'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의지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지하다 依 의 = 사람 亻 인 + 옷 衣 의' 입니다. '사람 亻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옷 衣 의'는 옷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의지하다 依 의'에서의 음인 '의'는 '옷 衣 의'의 음인 '의'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依'를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사람 亻 인'과 '옷 衣 의'를 결합하여 '의지하다 依 의'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사람.. 2022. 4. 19.
[하루한자] 홀로 獨 독 | 개 vs 닭은...? 개와 닭을 키워보신 경험이 있으신 가요? 개와 닭을 함께 키우면 쉽게 볼 수 있는 장면이 개가 닭을 장난치며 괴롭히는 장면 인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모습을 담은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홀로 獨 독' 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개가 닭을 괴롭히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홀로 獨 독 = 개 犭 견 + 큰 닭 蜀 촉' 입니다. '개 犭 견'은 개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 모양은 犬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犭 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큰 닭 蜀 촉'은 큰 닭을 나타내는 글자로 '罒(目의 변형) + 勹(닭의 몸통) + 벌레 虫 충(훼)' 입니다. 큰 닭이 벌레를 큰 눈으로 보고 있는.. 2022. 3. 30.
[하루한자] 닿다, 만지다 觸 촉 | 달팽이 본 경험 있으시죠? 생활을 하면서 물건이 손에 닿거나 손으로 물건을 만지는 경험을 항상 하게 되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닿거나 만지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닿다, 만지다 觸 촉' 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닿거나 만지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닿다 觸 촉 = 뿔 角 각 + 큰 닭 蜀 촉' 입니다. '뿔 角 각'은 뿔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동물의 뿔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큰 닭 蜀 촉'은 큰 닭을 나타내는 글자로 '눈 罒(目)목 + 勹 + 벌레 虫 충(훼)' 입니다. 큰 닭이 눈을 크게 뜨고(罒) 몸을 구부려(勹) 벌레(虫)를 보고 있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큰 닭', '벌레'라는 뜻이 있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벌레'의 의.. 2022.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