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루한자] 몸 軀 구 | 우리 몸은 각 부위로 구성되어 있죠.~! 한자에는 사람의 몸을 가리키는 글자가 몇개 있는데요. 그 중에 하나인 '몸 軀 구'를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몸 軀 구 = 몸 身 신 + 구역 區 구' 입니다. '몸 身 신'은 사람의 몸을 가리키는 글자로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이 글자의 초기모양을 보면 사람의 옆모습을 본떠서 만들어진 글자인데 몸을 강조하기 위해 배 부분을 볼록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임산부의 옆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라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구역 區 구'는 구역을 나타내는 글자로 '상자 匚 방 + 물건 品 품'으로 물건을 상자에 담거나 보관을 할 때 물건을 잘 분류하여 보관하는 것 같이 땅을 구분하여 놓은 것을 나타내어 '구역'이라는 뜻 입니다. * 본래 '구역 區 구'는 '감추다 匸 혜 + 물건 品 품'.. 2021. 12. 21. [하루한자] 때리다 毆 구 | 옥상으로 따라와! 많이 들어보셨죠?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사람을 때리는 장면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사람을 때리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때리다 毆 구'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때리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때리다 毆 구 = 구역 區 구 + 몽둥이, 창 殳 수' 입니다. '구역 區 구'는 구역을 나타내는 글자로 '상자 匚 방 + 물건 品 품'으로 물건을 상자 같은 곳에 보관할 때에 잘 구분하여 넣듯이 땅을 나눈 '구역'이라는 뜻입니다. * 區는 본래 '감추다 匸 혜 + 물건 品 품'이나 글자를 해석 할 때 '상자 匚 방'으로 주로 하여 '상자 匚 방 + 물건 品 품'으로 설명 하였습니다. '때리다 毆 구'의 음인 '구'는 '구역 區 구'의 음인 '구' 에서 온 .. 2021. 12. 20. [하루한자] 갈매기 鷗 구 | 갈매기가 사는 곳은? 바닷가에서 갈매기를 보신 경험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갈매기를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갈매기 鷗 구'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갈매기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갈매기 鷗 구 = 구역 區 구 + 새 鳥 조' 입니다. '구역 區 구'는 구역을 나타내는 글자로 '상자 匚 방 + 물건 品 품' 입니다. 상자에 물건을 넣을 때 물건을 잘 구분하여 넣는 것 같이 땅을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 * 區는 본래 '감추다 匸 혜 + 물건 品 품'이나 글자를 해석 할 때 '상자 匚 방'으로 주로 하여 '상자 匚 방 + 물건 品 품'으로 설명 하였습니다. '새 鳥 조'는 새를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새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부수글자 입니다. '갈매기 鷗 구'의 음인 '구'는 '구역 .. 2021. 12. 16. [하루한자] 구역 區 구 | 박스에 물건을 구분해서 담을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글자 주소를 보면 OO시 XX구라는 주소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XX구'에서 '구'는 구역을 말하는 것인데요. 한자에는 이렇게 구역을 나타내는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구역 區 구'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구역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역 區 구 = 상자 匚 방 + 물건, 등급 品 품' 입니다. '상자 匚 방'은 상자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물건을 담는 상자를 말하는데 그 모양이 오른쪽 부분이 개방된 모습입니다. 요즘 사용하는 상자는 윗 부분을 통해서 물건을 담는 것이 보통의 경우인데 '匚'은 옆 부분을 통해서 물건을 담는 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 것 입니다. '물건, 등급 品 품'은 물건, 등급의 뜻을 가진 글자로 '입 口 구 + 부르짖다, 의견.. 2021. 12. 14. [하루한자] 흔적 痕 흔 | 몸에 흉터 있으세요? 몸에 흉터가 있으세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흉터나 흔적을 나타내는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흔적 痕 흔'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흉터나 흔적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흔적 痕 흔 = 병들다 疒 녁 + 그치다 艮 간' 입니다. '병들다 疒 녁'은 병들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사람이 병에 들어 침상에 누워 있는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그렇게 누워 있는 모습에서 '병들다'는 뜻 입니다. '그치다 艮 간'은 그치다, 멈추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눈 目 목 + 되다, 변하다 化 화' 입니다. 즉 눈이 변하는 것을 나타낸 글자로 눈이 변하다는 것은 사람의 시선이 바뀌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게 시선이 다른 곳으로 돌아가면서 하던 동작이나 일을 '그치다, 멈추다'는 뜻 입니다.. 2021. 12. 13. [하루한자] 끝 垠 은 | 땅의 끝에 가보셨나요? 땅 끝 마을이나 땅끝이 보이는 곳에 가보신 경험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땅끝, 낭떨어지를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끝 垠 은'이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땅의 끝, 낭떨어지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끝 垠 은 = 흙 土 토 + 그치다, 멈추다 艮 간' 입니다. '흙 土 토'는 흙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흙을 나타내는 글자이긴 하지만 흙만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땅이라는 뜻으로도 사용이 됩니다. 여기에서도 땅으로 이해 하셔야 합니다. '그치다 艮 간'은 그치다, 멈추다의 뜻이 있는 글자로 '눈 目 목 + 되다,변하다 化 화' 입니다. 이 글자는 사람의 시선이 다른 곳으로 변하게 되어 그동안 하던 동작을 그치는, 멈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끝 垠 은'.. 2021. 12. 10. [하루한자] 은 銀 은 | 은(銀) 좋아 하세요? 은(銀)을 좋아하세요? 한자에는 재미있게도 은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은 銀 은'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은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은 銀 은 = 쇠 金 금 + 그치다, 멈추다 艮 간' 입니다. '쇠 金 금'은 쇠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치다, 멈추다 艮 간'은 그치다, 멈추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눈 目 목 + 되다 化 화' 입니다. 즉 눈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글자로 눈이 변화 한다는 것은 시선이 다른 곳으로 가는 것을 의미 합니다. '은 銀 은'의 음인 '은'은 '그치다 艮 간'에서 온 것으로 초성 'ㄱ'이 'ㅇ'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글자로 이러한 이유로 '銀'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쇠 金 금'과 '그치다 艮 간'을 결합하.. 2021. 12. 7. [하루한자] 뿌리 根 근 | 나무의 근본은 뿌리! 모든 식물에는 뿌리가 있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뿌리를 나타낸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뿌리 根 근'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뿌리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뿌리 根 근 = 나무 木 목 + 그치다 艮 간' 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치다 艮 간'은 '그치다, 멈추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눈 目 목 + 변화하다 化 화' 입니다. 이 글자를 시선이 먼저 어느곳에 변화하고 행동이 그치는, 멈추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뿌리 根 근'의 음인 '근'은 '그치다 艮 간'의 음인 '간'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根'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나무 木 목'과 '그치다 艮 간'을 결합하여 '뿌리 根 근'을 만들.. 2021. 11. 17. [하루한자] 한하다 恨 한 | 잊혀지지 않는 기억이 있으시죠? 마음이나 머릿속에서 잊혀지지 않는 기억.. 하나쯤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잊혀지지 않는 기억을 표현한 글자가 있느데요. 바로 '한하다 恨 한'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잊혀지지 않는 기억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하다 恨 한 = 마음 忄 심 + 그치다, 멈추다 艮 간' 입니다. '마음 忄 심'은 사람의 마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치다 艮 간'은 '그치다, 멈추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눈 目 목 + 변하다 化 화' 입니다. 이 글자를 어떤 일이나 동작을 하던 중 시선을 빼앗는 사건이나 일에 눈을 돌려 하던 일을 그치거나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한하다 恨 한'의 음인 '한'은 '그치다 艮 간'에서 온 것으로 초성 'ㄱ'이 'ㅎ'으로 변.. 2021. 11. 15. [하루한자] 눈 眼 안 | 눈갈 가는 곳을 바라볼 때 마다 배울수 있는 글자 한자에는 눈을 가리키는 글자가 몇개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은 '눈 眼 안'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눈 眼 안 = 눈 目 목 + 멈추다, 그치다 艮 간' 입니다. '눈 目 목'은 눈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눈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상형 글자 입니다. '멈추다, 그치다 艮 간'은 멈추다는 뜻과 그치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눈 目 목 + 되다, 변화하다 化 화' 입니다. 艮의 윗부분은 '눈目목'의 획줄임 입니다. 그리고 그 나머지 부분은 '변화하다 化 화'의 변형 입니다. 즉 눈과 변화하다는 뜻이 결합하여 그치다, 멈추다는 뜻의 글자가 된 것인데 그것은 사람이 어떤일을 하다가 그 일과는 상관 없는 눈길이 끄는 일이 발생하면 그 사람의 눈(目)이 눈길을 끄는 일쪽으로 변화(化)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2021. 11. 2. 이전 1 ··· 4 5 6 7 8 9 10 ··· 8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