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16

[하루한자] 사납다, 모질다 虐 학 | 호랑이 발톱 보셨나요? 호랑이의 발톱을 보신적 있으십니까?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호랑이의 발톱을 통해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사납다, 모질다 虐 학' 이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호랑이 발톱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虐 = 호피무늬 虍 호 + 손톱 爪 조 호피무늬 虍 호 : 범의 무늬, 호피무늬 라는 뜻의 부수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범의 줄무늬가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범의 무늬라는 뜻이지만 '호랑이, 범, 맹수'의 의미로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손톱 爪 조 : 새의 날카로운 발톱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로 '손톱'의 뜻이 있고 새의 발톱은 사람의 손과 같은 기능을 하므로 '손'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주로 '손톱, .. 2023. 9. 19.
[하루한자] 기부하다, 버리다 捐 연 | 기부 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수재 의연금을 내보신 경험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자신의 것을 나누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기부하다, 버리다 涓 연'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나누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捐 = 손 扌 수 + 누에 肙 연 뜻 : 기부하다, 버리다, 없애다, 주다, 내놓다, 덜다 손 扌 수 : 손을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본래의 모양은 手 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고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인 扌로 변하기도 합니다. 누에 肙 연 : 누에의 입(口)과 누에의 몸(月 ← 고기肉의 변형)을 나타내어 '누에, 작은벌레'라는 뜻의 글자 입니다. 그래서 '손 扌 수'와 '누에 肙 연'을 결합하여 '기.. 2023. 9. 17.
[하루한자] 빼앗다, 잃다 奪 탈 | 돈 잃어버린 경험 있으신가요? 손에 있는 물건이나 돈과 같은 것을 잃어 버린 경험 있으세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손에 있는 물건(돈)을 잃어 버린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빼앗다, 잃다 奪 탈'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손에 있는 것을 잃어버리는 모습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奪 = 크다 大 대 + 새 隹 추 + 마디 寸 촌 뜻 : 빼앗다, 잃다, 빼앗기다, 없어지다 크다 大 대 : 사람이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입니다. 양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이 그렇지 않은 모습에 비해 커 보이는 것을 나타내어 '크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 새 隹 추 : 새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로, 새 중에서 꽁지가 짧은 참새와 같은 비교적 작은 새의 모양은 본 떠서 만든 글.. 2023. 9. 14.
[하루한자] 거스르다 逆 역 | 역주행 노래중 좋아하는 곡은? 음반시장에서 역주행곡을 종종 볼 수 있는데요. 역주행(逆走行) 이라고 할 때 역(逆)은 거스르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거스르다 逆 역'을 공부 하면서 거스르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逆 = 쉬엄쉬엄가다 辶 착 + 거스르다 屰 역 뜻 : 거스르다, 배반하다, 어기다, 어지러워지다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이 글자는 말 그대로 가다쉬다 하면서 가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辵' 이지만 다른글자와 결합 할 때 그 모양인 辶으로 변형 됩니다. '쉬엄쉬엄가는것'도 결국 가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다'라는 뜻으로 결합이 됩니다. 거스르다 屰 역 : 이 글자는 그 서체 변화를 보면 사람이 거꾸로 머리가 아래로 향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 2023. 9. 13.
[하루한자] 어기다 違 위 | 주차위반 해본적 있으신가요? 실수로 규칙이나 법을 어겨본 경험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규칙이나 법을 어기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어기다 違 위'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규칙을 어기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違 = 쉬엄쉬엄가다 辶 착 + 가죽, 어긋나다 韋 위 뜻 : 어기다, 어긋나다, 다르다 쉬엄쉬엄가다 辶 착 : 이 글자를 말 그대로 가다쉬다 하면서 가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辵' 이지만 다른글자와 결합 할 때 그 모양인 辶으로 변형 됩니다. '쉬엄쉬엄가는것'도 결국 가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다'라는 뜻으로 결합이 됩니다. 가죽, 어긋나다 韋 위 : 가죽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중 하나 입니다. 가죽 중에서 다룬가죽을 나타내는 .. 2023. 9. 11.
[하루한자] 닭 鷄 계 | 삼계탕 모두 좋아하시나요? 삼계탕 좋아 하시죠? '삼계탕' 이라고 할 때 '계'라는 것은 닭을 가리키는 '닭 鷄 계'라는 한자 입니다. '닭 鷄 계'를 공부하면서 닭이라는 동물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鷄 = 어찌 奚 해 + 새 鳥 조 뜻 : 닭, 가금 '어찌 奚 해'는 '손톱 爪 조' + '작다, 어리다 幺 요' + '크다 大 대' 입니다. '손톱 爪 조' 는 새의 발톱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인데 여기서는 새의 손톱에 해당하는 '날개'라는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즉 '손톱 爪 조' + '작다 幺 요' = 날개가 작다는 뜻이고 '크다 大 대'는 몸집이 크다는 것입니다. 닭이나 오리의 모습을 보면 하늘을 높이 날아다니는 새들(독수리, 매 등)에 비해 날개는 작고 몸통이 큰것을 알 .. 2023. 9. 7.
[하루한자] 이를, 이 此 차 | 도착지에 멈춰서 본 경험 있으시죠? 길을 가다가 목적지에 도착을 하여 멈추어 서는 경험을 항상 하게 되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도착지에 멈추어 서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이번 시간에 공부할 '이를, 이 此 차'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도착지에 멈추어 서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此 = 멈추다, 그치다 止 지 + 비수, 사람 匕 비 뜻 : 이르다, 이, 이에, 이 곳, 이 것 '멈추다, 그치다 止 지'는 사람의 발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부수 글자 입니다. 발은 움직임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止'는 서 있는 상태, 멈추어 서 있는 상태의 발을 표현하여 '멈추다, 그치다'는 뜻 입니다. '정지'라고 할 때 사용하는 글자 입니다. '비수, 사람 匕 비'는 비수의 모양.. 2023. 7. 15.
[하루한자] 끊다 絶 절 | 칼로 실 끊어 본 적 있으시죠? 칼을 가지고 실이나 줄을 끊어 보신 경험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칼로 실을 끊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끊다 絶 절'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실을 칼로 끊는 것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絶 = 실 糸 사 + 칼 刀 도 + 무릎 㔾 절 뜻 : 끊다, 떨어지다, 뛰어나다, 글귀, 막다, 그만두다, 사이를 띄우다, 매우, 몹시 '실 糸 사'는 실타래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부수글자 입니다. 실, 줄, 끈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칼 刀 도'는 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刀의 모양이 결합을 하면서 色의 윗부분과 같이 변형이 된 것 입니다. '무릎 㔾 절'은 신체의 한 부분이 무릎을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그 모양이 卩, 㔾, 色, 의 아.. 2023. 7. 12.
[하루한자] 다스리다, 이치 理 리 | 보석 닦아 보신 경험 있으시죠? 보석이나 장식품을 깨끗하게 닦아본 경험이 있으신 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구슬의 무늬가 잘 나타나게 닦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다스리다, 이치 理 리'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구슬을 잘 닦는 것과 다스리는것, 이치가 무슨 관련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理 = 구슬 玉 옥 + 마을 里 리 뜻 : 다스리다, 옥을 갈다, 바르다, 이치, 깨닫다, 통하다, 재판하다, 처리하다, 손질하다, 길, 도리 '구슬 玉 옥' 은 보석의 한 종류인 옥구슬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옥 구슬을 줄에 꿴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마을 里 리'는 사람들이 모여 살기 좋은 마을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로 '밭田전 + 흙土토' 입니다. 농사를 지을수 있는 밭(田)을 .. 2023. 7. 5.
[하루한자] 받다 受 수 | 술잔 받아보신 경험 있으시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술을 마셔본 경험 있으시죠? 술을 마실때 술잔에 술을 서로 따라 주게 되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술을 받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받다 受 수'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술을 받는 모습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受 = 손톱 爪 조 + 冖 ( 舟의 변형) + 오른손 又 우 뜻 : 받다, 받아들이다, 당하다, 거두어들이다, 얻다 3개의 글자를 결합하여 만든 글자. '손톱 爪 조' 는 새의 손톱(발톱)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손톱의 뜻을 가지고 있으나 손톱이 위치한 손의 의미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도 손의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冖(舟의 변형)' 受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冖'는 본래 배를 가리키.. 2023. 6. 26.
[하루한자] 잇다, 맞이하다 接 접 | 하인들이 일하는 모습 보신적 있으시죠? 영화나 영상을 통해 하인들이 수고로운 일들을 하는 모습을 보신적 있으실 것 입니다. 재미 있게도 한자에는 하인들이 일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잇다, 맞이하다 接 접'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하인들이 수고로운 일을 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接 = 손 扌 수 + 하녀 妾 첩 뜻 : 잇다, 대다, 맞이하다, 대접하다, 사귀다, 교제하다, 엇갈리다 잇다 接 접은 형성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손 扌 수 + 하녀 妾 첩' 입니다. '손 扌 수'는 사람의 손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손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로 본래 모양은 '手' 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에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扌'로 바뀌게 됩.. 2023. 6. 22.
[부수글자] 또, 오른손 又 우 한자에는 '손'을 표현한 글자들이 몇개 있는데요. 그 중에서 부수글자이면서 개인적으로 한자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글자 중 하나인 '오른손 又 우'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뜻 : 또, 오른손, 손 사람의 손을 의미하는 글자로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상형의 원리는 대상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로 대상의 특징을 잘 살려서 나타내고 있는 글자 입니다. 즉 손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오른손 又 우'는 당연히 사람의 오른손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아래의 서채 변화를 보면 그 모양이 요즘 식사 때 사용하는 포크와 비슷하게 생긴 모습인데요. 이것이 사람의 오른쪽 손가락과 손목 까지의 모양을 표현한 것 입니다. 상형자를 만드는 원리 중 그 수가 많.. 2023. 6. 21.
[하루한자] 잇다, 잇닿다 續 속 | 판매를 매장 보신적 있으시죠? 전문매장에 손님들이 줄을 서서 대기하는 모습 보신경험 있으실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그렇게 판매를 계속 이어나가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이번 시간에 공부할 '잇다 續 속'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판매를 계속 이어나가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續 = 실 糸 사 + 행상 賣 육 뜻 : 잇다, 이어지다, 뒤를 잇다, 잇닿다, 계속 형성 결합으로 만들어진 글자로 '실 糸 사 + 행상 賣 육' 입니다. '실 糸 사'는 실타래의 모양을 본 뜬 글자로 실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할 때에는 실이라는 뜻과 그 실이 길게 이어져 있는 실의 속성의 의미로 결합이 됩니다. '행상 賣 육'은 지역을 돌아다니며 물건을 판매하는.. 2023. 6. 20.
[하루한자] 찾다, 생각하다 尋 심 | 양팔 벌려 길이를 재본 경험 있으세요? 양팔 벌려서 길이를 재보신 경험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양팔을 벌려 길이를 재는 모습을 담아낸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찾다, 생각하다 尋 심'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양팔을 벌려 길이를 재는 모습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찾다, 생각하다'는 의미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尋 = (彐+ 工) + (彐 + 口) + 寸 뜻 : 찾다, 생각하다, 보통, 발(길이를 재는 단위) 회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왼쪽 左 좌 + 오른쪽 右 우 + 마디 寸 촌' 입니다. 尋의 상단의 彐 부분은 '오른손, 손 又 우'의 다른 모양 입니다. 左, 右의 공통부분을 彐 하나로 표현한 것 입니다. '왼쪽 左 좌 = 오른손 又 우 + 장인 工 공' 으로.. 2023. 5. 11.
[하루한자] 재미 趣 취 | 취미 있으세요?? 생각만 해도 너무 재미있고 즐거운 취미 있으시나요? 그리고 그 재미 있는 취미를 하고 싶어 행동을 재촉해 본 경험 있으시죠? 개들을 산책 시킬때 개들이 산책을 좋아하니 빨리 나가고 싶어서 주인을 재촉하는 모습 보신 경험있으실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러한 재미를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재미 趣 취'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재미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뜻 : 재미, 빨리가다, 달리다, 재촉하다, 뜻 趣 = 走 + 取 재미 趣 취 = 달리다 走 주 + 취하다 取 취 입니다. 달리다는 뜻과 취하다는 뜻을 결합하여 재미라는 뜻의 글자를 만들어 낸 것 입니다. 즉 취하려고 달려나가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이것은 빨리 가지고 싶어서.. 2023. 5. 4.
[하루한자] 파리하다, 여위다 瘦 수 | 여위어 보이는 분을 볼 때 마다 어딘가 아파보이고 여위어 보이는 분들 가끔 볼 수 있는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파리하고, 여위어 보이는 상태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파리하다 瘦 수'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파리하고 여위어 보이는 상태를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뜻 : 파리하다, 여위다, 마르다, 약하다, 희미하다, 작고 가늘다 瘦 = 疒 + 叟 '파리하다 瘦 수 = 병들다 疒 녁 + 늙은이 叟 수' 입니다. 병든 것(疒)과 늙은 사람(叟)을 결합한 것인데요. 병든 사람(疒)의 모습이나 나이가 많이 든 사람(叟)의 공통적인 모습이 '파리하다, 여위다'는 뜻 입니다. 또는 나이 많은 사람(叟)의 모습이 병든 사람(疒) 같이 여위어 보이는 것에서 '파리하다, 여위다' 뜻 이고.. 2023. 4. 27.
[하루한자] 형수 嫂 수 | 나이 많은 형수님을 볼 때 마다 혹시 형수가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형수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형수 嫂 수'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형수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嫂 = 女 + 叟 뜻 : 형수, 부인, 결혼한 여자 형수 嫂 수 = 여자 女 여 + 늙은이 叟 수 입니다. 여자와 늙은이라는 뜻을 결합하여 '형수'의 뜻을 만들어 낸 것인데요. 이 글자가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은 나이 많은 여자 입니다. 이것은 가족 중 나이가 많은(叟) 여자(女)를 가리켜 '형수'라는 뜻의 글자를 만들어낸 것 입니다. 생각해 보면 부모님 아래로 가장 나이가 많거나 아니면 집안의 여성 어른은 형수죠? 나이 많은 형수를 보실 때 마다 '형수 嫂 수'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2023. 4. 26.
[하루한자] 찾다 搜 수 | 길가에서 물건 찾아 본 경험 있으세요? 귀중한 물건을 길가에 떨어뜨리고 찾아보신 경험 한번쯤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물건을 찾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찾다 搜 수'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찾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찾다 搜 수 의 뜻과 만들어진 원리 搜 = 扌 + 叟 뜻 : 찾다, 탐구하다, 더듬다, 가리다, 고르다, 많다, 빠르다, 쓸쓸하다, 움직이는 모양, 어지럽다, 어지러워지다, 흐트러지다 음 : 수, 소(어지럽다, 어지러워지다, 흐트러지다) '찾다 搜 수' 는 형성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형성의 원리라는 것은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낼 때 하나의 글자에서는 모양(形)을, 다른 하나의 글자에서는 소리(聲)를 따서 만든 글자를 말합니다.. 2023. 4. 25.
[하루한자] 늙은이 叟 수 | 부젓가락을 아세요? 한자에는 나이 많은 늙은이를 나타내는 글자가 몇 글자 있습니다. 이번에는 '늙은이 叟 수'를 공부하면서 늙은 사람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늙은이 叟 수 의 뜻과 만들어진 원리 叟 = 臼 + 丨 + 又 뜻 : 늙은이, 찾다, 쌀씻는 소리, 움직이는 모양, 촉의 별칭 음 : 수 叟는 회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회의 결합은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원리입니다. 이 때 만들어진 새로운 뜻은 전혀 새로운 뜻이 아니고 누구나 받아들일 수 있는 뜻으로 만들어 집니다. 회의 결합은 새로운 뜻이 만들어지는 것 뿐 아니라 새로운 음도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 '해 日 일' + '달 月 월' = '밝다 明 명' ☞ 두개의 밝은 빛을 비추는 해와 달을 결합하여 '밝.. 2023. 4. 24.
[부수글자] 하나 一 일, 두 二 이 | 선을 그어 수를 표현한 글자 부수글자 중 수를 표현한 글자들이 몇 글자 있습니다. 그 중 하나, 둘을 가리키는 하나 一 일, 두 二 이 이렇게 두개의 글자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 一 일, 두 二 이 의 뜻과 만들어진 원리 一 , 二 하나 一 일, 두 二 이는 많은 분들이 잘 아는 것 같이 수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들 입니다. 그 뜻을 살펴 보면 하나 一 일 : 하나, 한, 처음, 첫째, 온통, 가리키다 두 二 이 : 둘, 두, 둘째, 거듭 하나라는 수를 표현하기 위해 가로획 하나를 그어 1을 표현하였고, 둘이라는 수를 표현하기 위해 가로획 2개를 그어 2를 표현한 글자 입니다. 이 두 글자 모두 그 만들어진 원리는 지사의 원리로 만들어 졌습니다. 지사의 원리라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형태를 그릴 수 없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2023. 4.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