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닭 鷄 계 | 삼계탕 모두 좋아하시나요?

by Think Pond 2023. 9. 7.

삼계탕 좋아 하시죠? '삼계탕' 이라고 할 때 '계'라는 것은 닭을 가리키는 '닭 鷄 계'라는 한자 입니다. '닭 鷄 계'를 공부하면서 닭이라는 동물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鷄 = 어찌 奚 해 + 새 鳥 조

뜻 : 닭, 가금

 

'어찌 奚 해'는 '손톱 爪 조' + '작다, 어리다 幺 요' + '크다 大 대' 입니다. 

'손톱 爪 조' 는 새의 발톱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인데 여기서는 새의 손톱에 해당하는 '날개'라는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즉 '손톱 爪 조' + '작다 幺 요' = 날개가 작다는 뜻이고 '크다 大 대'는 몸집이 크다는 것입니다. 닭이나 오리의 모습을 보면 하늘을 높이 날아다니는 새들(독수리, 매 등)에 비해 날개는 작고 몸통이 큰것을 알 수 있는데 바로 그런 닭이나 오리의 특징적인 모습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래서  닭이나 오리는 다른 새들에 비해 '어찌' 날개는 작고 몸은 큰가? 라고 하여 '어찌'라는 뜻의 글자가 된 것 입니다.

 

'새 鳥 조'는 새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로 '새'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닭 鷄 계'는 새(鳥) 중에서 날개는 작고 몸통은 큰(奚) 특징을 가진 '닭'이라는 뜻 입니다.

 

날개는 작고 몸통은 큰 새인 닭을 보실때 마다 '닭 鷄 계'를 연상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서체변화

※ 초기의 서체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 졌으나 후에 닭의 특징을 잘 살려 형성의 원리로 표현한 글자.

글자의 음

음 : 계

 

'닭 鷄 계'의 음인 '계'는 '어찌 奚 해'의 음인 '해'에서 온 것으로 초성 'ㅎ'이 'ㄱ'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글자 입니다.

초성 'ㄱ', 'ㅇ', 'ㅎ'은 자유롭게 변합니다. 

 

단어, 성어

계란(鷄卵) : 닭의 알, 달걀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대추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관련글자

어찌 奚 해

새 鳥 조

동영상 설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