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에는 '손'을 표현한 글자들이 몇개 있는데요. 그 중에서 부수글자이면서 개인적으로 한자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글자 중 하나인 '오른손 又 우'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뜻 : 또, 오른손, 손
사람의 손을 의미하는 글자로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상형의 원리는 대상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로 대상의 특징을 잘 살려서 나타내고 있는 글자 입니다.
즉 손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오른손 又 우'는 당연히 사람의 오른손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아래의 서채 변화를 보면 그 모양이 요즘 식사 때 사용하는 포크와 비슷하게 생긴 모습인데요. 이것이 사람의 오른쪽 손가락과 손목 까지의 모양을 표현한 것 입니다.
상형자를 만드는 원리 중 그 수가 많은 것은 3개로 줄여서 표현하는 원리가 있는데 사람의 5개의 손가락을 3개로 줄여서 표현한 것 입니다.
서체변화
글자의 음
음 : 우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이기 때문에 새로운 음이 만들어 졌습니다.
단어, 성어
日新又日新(일신우일신) : 날로 새롭고 또 날로 새루워짐.
★ 又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 많은 경우 '손'이라는 뜻 보다는 '또'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관련글자
왼손 屮 좌,
왼 左 좌, 오른쪽 右 우
동영상 설명
반응형
'부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글자] 하나 一 일, 두 二 이 | 선을 그어 수를 표현한 글자 (0) | 2023.04.24 |
---|---|
[부수 214자 과정] 15강. 먹다 食 식, 달다 甘 감, 향기 香 향, 덮다 冖 멱, 덮다 襾 아 (0) | 2021.01.22 |
[부수 214자 과정] 14강. 옷 衣 의, 실 糸 사, 수건 巾 건, 바느질 하다 黹 치, 그물 网 망 (0) | 2020.08.28 |
[부수 214자 과정] 13강. 어그러지다 舛 천, 이르다 至 지, 그치다 艮 간, 서다 立 립 (0) | 2020.08.26 |
[부수 214자 과정] 12강. 자축거리다 彳 척, 다니다 行 행, 길게 걷다 廴 인, 쉬엄쉬엄가다 辵 착, 달리다 走 주, 가다 癶 발 (0) | 2020.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