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다스리다, 이치 理 리 | 보석 닦아 보신 경험 있으시죠?

by Think Pond 2023. 7. 5.
반응형

 

보석이나 장식품을 깨끗하게 닦아본 경험이 있으신 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구슬의 무늬가 잘 나타나게 닦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다스리다, 이치 理 리'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구슬을 잘 닦는 것과 다스리는것, 이치가 무슨 관련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理 = 구슬 玉 옥 + 마을 里 리

 

뜻 : 다스리다, 옥을 갈다, 바르다, 이치, 깨닫다, 통하다, 재판하다, 처리하다, 손질하다, 길, 도리

 

'구슬 玉 옥' 은 보석의 한 종류인 옥구슬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옥 구슬을 줄에 꿴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마을 里 리'는 사람들이 모여 살기 좋은 마을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로 '밭田전 + 흙土토' 입니다. 농사를 지을수 있는 밭(田)을 만들기에 좋은 흙(土)이 있어서 살기 좋은 곳이 '마을'이라는 뜻입니다. 이 글자에는 중요한 의미가 하나 더 있는데요. 바로 '무늬'라는 의미 입니다. 흙을 농사짓기 좋은 밭으로 만드는 것은 흙에 '무늬'를 새기듯 땅을 간다는 데에서 '무늬'라는 의미가 있는데 여기서는 '무늬'라는 의미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그래서 '구슬 玉 옥'과 '마을 里 리'를 결합하여 '다스리다, 이치 理 리'를 만든 것인데

그 뜻은 구슬(玉)의 무늬(里)가 잘 나타나도록 옥을 갈고 닦듯이, 학문이나 기술을 갈고 닦아 나타난 '이치'라는 뜻이며, 이치에 맞게 백성을 '다스리다'는 뜻 입니다.

 

★ 아래의 서체 변화 중 왼쪽에 있는 금문의 모양을 보시면 글자의 왼쪽 부분이 '구슬 玉 옥'자의 모양과 그 아랫부분이 '손 又 우'의 모양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손으로 옥을 갈고 닦는 것을 나타낸 것 입니다.

 

 

 

서체변화

 

 

글자의 음

음 : 리

 

'다스리다 理 리'는 형성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理의 음인 '리'는 '마을 里 리'의 음인 '리'에서 온 것 입니다.

 

단어, 성어

理由(이유) : 까닭

理致(이치) : 사물의 정당한 조리

理解(이해) :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함. 깨달아 알아들음

料理(요리) : 입에 맞도록, 식품의 맛을 돋우어 조리함

管理(관리) : 사람을 통제하고 지휘 감독하는 것. 시설이나 물건의 유지 개량 따위를 꾀하는 것

原理(원리) : 사물의 근거하여 성립하는 근본법칙. 기초가 되는 근거 또는 보편적 진리.

整理(정리) : 흐트러진 것을 가지런히 바로잡음. 불필요한 것을 없애고 일이 잘 되게 함.

 

 

관련글자

구슬 玉 옥

마을 里 리

오른손 又 우

동영상 설명

내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