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끊다 絶 절 | 칼로 실 끊어 본 적 있으시죠?

by Think Pond 2023. 7. 12.

칼을 가지고 실이나 줄을 끊어 보신 경험 있으신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칼로 실을 끊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끊다 絶 절'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실을 칼로 끊는 것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絶 = 실 糸 사 + 칼 刀 도 + 무릎 㔾 절

 

뜻 : 끊다, 떨어지다, 뛰어나다, 글귀, 막다, 그만두다, 사이를 띄우다, 매우, 몹시

 

'실 糸 사'는 실타래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부수글자 입니다. 실, 줄, 끈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칼 刀 도'는 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刀의 모양이 결합을 하면서 色의 윗부분과 같이 변형이 된 것 입니다.

'무릎 㔾 절'은 신체의 한 부분이 무릎을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그 모양이 卩, 㔾, 色, 의 아랫부분 등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즉 실과 칼, 무릎 이라는 뜻을 결합하여 '끊다 絶 절'을 만들어 낸 것인데

이 뜻은 실(糸)을 자를 때(刀) 무릎을 구부리듯 구부려서(㔾) 자르는 것을 나타내어 ‘끊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무릎 㔾 절'은 실을 구부리는 것을 표현하는 것 입니다. 실을 자를 때 실을 구부려 칼로 자르는데 바로 그 자르는 모습을 그대로 문자화 한 것 입니다.

 

실을 자를때 구부려서 칼로 자르는 경험을 하실 때 마다 '끊다 絶 절'을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서체변화

 

글자의 음

음 : 절

 

형성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絶'의 음인 '절'은 오른쪽 아랫부분에 위치한 '무릎 㔾 절'의 음인 '절'에서 온 것 입니다.

 

 

단어, 성어

絶叫(절규) : 있는 힘을 다하여 절절하고 애타게 부르짖음

絶對(절대) : 조건, 제약이 붙지 아니함, 상대할 것이 없음(끊어짐)

絶望(절망) : 모든 희망을 끊어버림 또는 그런 상태

絶壁(절벽) : 바위를 잘라 세운 것 처럼 아주 높이 솟아 있는 험한 낭떠러지

拒絶(거절) : 상대편의 요구, 제안,  선물, 부탁 따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침

謝絶(사절) : 거절함, 물리침

 

관련글자

실 糸 사

칼 刀 도

무릎 㔾 절

끊다 斷 단

끊다 切 절

 

동영상 설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