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잇다, 맞이하다 接 접 | 하인들이 일하는 모습 보신적 있으시죠?

by Think Pond 2023. 6. 22.
반응형

영화나 영상을 통해 하인들이 수고로운 일들을 하는 모습을 보신적 있으실 것 입니다. 재미 있게도 한자에는 하인들이 일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잇다, 맞이하다 接 접'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하인들이 수고로운 일을 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接 = 손 扌 수 + 하녀 妾 첩

 

뜻 : 잇다, 대다, 맞이하다, 대접하다, 사귀다, 교제하다, 엇갈리다

 

잇다 接 접은 형성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손 扌 수 + 하녀 妾 첩' 입니다.

 

'손 扌 수'는 사람의 손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손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로 본래 모양은 '手' 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여 새로운 글자에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로 바뀌게 됩니다.

 

'하녀 妾 첩'은 첩이나 하녀를 가리키는 글자로 '立(辛의 줄임) + 여자 女 여' 입니다. 妾의 윗부분인 '立'은 본래 '맵다 辛 신'의 줄임으로 맛이 맵거나 노예를 가리키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노예의 의미로 결합 된 것 입니다. 즉 신분이 노예인 여자를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래서 '잇다 接 접'의 뜻은

수고로운() 일을 하는 하녀(妾)를 가리키는 글자로 하녀들의 일은 대부분 계속 이어져서 하므로 '잇다'는 뜻이고, 손()이 많이가는 손님을 맞이하는 일을 하녀(妾)들이 하는 것을 나타내어 '맞이하다, 대접하다'는 뜻 입니다.

 

 

 

서체변화

내용

 

글자의 음

음 : 접

 

형성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하녀 妾 첩'의 음인 '첩'이 '접'으로 된 것으로 초성 'ㅊ'  → 'ㅈ' 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음의공식(이관동정리) 초성 2공식에 해당하는 글자 입니다. 

 

 

단어, 성어

接受(접수) : 받아들임.

接續(접속) : 서로 맞대어 이음.

接種(접종) : 병의 예방, 치료, 진단, 생물학상 실험등을 위하여 병원균이나 독소를 사람 또는 동물의 체내에 주입하는일.

接觸(접촉) : 맞붙여서 닿음.

接合(접합) : 한데 대어 붙임.

待接(대접) : 손님을 맞음.

直接(직접) : 중간에 매개나 거리, 간격이 없이 바로 접함.

迎接(영접) : 손님을 맞아서 대접함.

面接(면접) : 얼굴을 마주대함.

 

 

관련글자

손 手 수

하녀 妾 첩

동영상 설명

내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