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짝, 왕비 妃 비 | 아내 = 왕비 ?!

by Think Pond 2021. 1. 31.
반응형



결혼한 남성분들은 아내가 있으실 텐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아내를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짝, 왕비 妃 비'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아내를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짝, 왕비 妃 비 = 여자 女 여 + 몸 己 기' 입니다.


'여자 女 여'는 여자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몸 己 기'는 몸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己'는 사람의 척추 뼈 마디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 떠서 만들었다는 주장에서 '몸'이라는 뜻과 구버러진 줄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들었다고 하여 '실마리'라는 뜻이 있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몸'이라는 뜻으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그래서 '여자 女 여'와 '몸 己 기'를 결합하여 '짝, 왕비 妃 비'를 만들어 낸 것 인데

그 뜻은 결혼을 하여 남편과 한 몸()이 된 여자()를 가리켜 , 배필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왕()의 여자()를 가리켜 왕비라는 뜻입니다.

*己 용의 구불구불한 모양

이 글자는 남자와 결혼하여 한 몸이된 여자를 표현한 글자인데 대부분 '왕비'라는 의미로 사용이 됩니다. 그것은 '己'의 모양이 구불구불하게 모습을 한 용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예전의 용은 왕을 의미했었죠? 그래서 왕의 여자, 왕과 한 몸이된 '왕비'의 의미로 사용이 된 것 입니다.


사극을 보시면서 '왕비'가 등장하는 모습을 보시거나 남자와 한 몸이 된 여성을 보실 때 마다 '짝, 왕비 妃 비'를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왕비 王妃, 양귀비 楊貴妃'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