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더하다 添 첨 | 덧붙여본 경험 있으시죠?

by Think Pond 2020. 12. 18.
반응형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무언가를 덧붙여본  경험이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덧붙이거나 더하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더하다 添 첨' 이라는 글자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덧붙이거나 더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더하다 添 첨 = 물 氵 수 +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 입니다.

 

'물 氵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본래의 모양은 '水' 이지만 이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을 하면서 새로운 글자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 모양이 '氵'로 변하기도 합니다.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은 '하늘 夭(天의 변형) 천 + 마음 㣺 심' 입니다. 즉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하늘을 보기가 부끄러운 마음을 표현한 글자로 '더럽히다, 욕되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

 

'더하다 添 첨'의 음인 '첨'은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의 음인 '첨'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添'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물 氵 수'와 '더럽히다, 욕되다 忝 첨'을 결합하여 '더하다 添 첨'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죄를 지은 사람을 욕보이게(忝) 물(氵)을 끼얹는 것을 나타내어 ‘더하다, 덧붙이다‘는 뜻입니다.

 

사극을 보면 죄를 지은 죄인들을 포승줄이나 수레로 호송하는 장면을 보신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그 장면을 자세히 보시면 죄인을 호송할때 그 길가에 그 마을의 주민들이 지켜보며 물을 끼얹는 모습을 보신경험이 있으실 것인데 바로 그 모습을 표현한 글자인 것입니다. 

 

죄인에게 물(氵)을 끼얹어 욕을 보이는 것(忝)을 표현한 것으로 욕보이기 위해 물을 '더하다, 덧붙이다'는 것 입니다.

사극을 보시면서 이러한 장면을 보실 때 마다 '더하다 添 첨'을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첨가 添加, 첨부 添附, 첨삭 添削'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