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중에는 사람이 오르기 힘든 험한 산이 있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험한 산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견디다 堪 감'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험한 산을 어떻게 표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堪 = 흙 土 토 + 심하다 甚 심
흙 土 토 : 흙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지표면(一) 위에 새싹(十)이 돋아나는 것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심하다 甚 심 : 심하다, 매우, 두텁다, 지나치다의 뜻을 가진 글자로 '달다 甘 감 + 짝 匹 필' 입니다. 맛있는 단(甘) 음식을 짝(匹)과 함께 먹으니 그 즐거움이 심히 좋다는 의미로 '심하다, 매우, 두텁다'의 뜻이 있는 글자 입니다.
그래서 '흙 土 토'와 '심하다 甚 심'을 결합하여 '견디다 堪 감'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흙(土)이 심히 두텁게(甚) 쌓인 높은 언덕이나 산을 넘으려면 산에 오르고 내려오는 어려움을 견뎌내야 함을 나타내어 ‘견디다, 뛰어나다’는 뜻입니다.
堪은 높은 언덕, 산을 표현한 것이고 이 심히 높은 언덕, 산을 견뎌내는 것을 나타낸 것 입니다.
높은 산을 오르면서 그 힘든 과정을 견디는 경험을 하실 때 마다 '견디가 堪 감'을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서체변화
내용
글자의 음
음 : 감
'견디다 堪 감'의 음인 '감'은 '심하다 甚 심' 에서 온 것으로 초성 'ㅅ'이 'ㄱ'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글자 입니다. '심하다 甚 심'의 음인 '심'은 '달다 甘 감'에서 온 것 입니다. 본래의 음인 '감'이 '심'으로 다시 '감'으로 변한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堪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단어, 성어
감내 堪耐 : 참고 견딤.
감당 堪當 : 일을 능히 맡아서 해냄.
난감 難堪 : 견디어 내기 어려움.
관련글자
흙 土 토
심하다 甚 심
짝 匹 필
동영상 설명
'하루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한자] 밥통 胃 위 | 속 편하신가요?? (0) | 2023.10.30 |
---|---|
[하루한자] 권장하다, 힘쓰다 勵 려 | 좋은 것을 권장해 본 경험 있으시죠? (1) | 2023.10.26 |
[하루한자] 다르다 他 타 | 나와 남은 다르죠? (1) | 2023.10.23 |
[하루한자] 어리다 稚 치 | 새 꽁지 보신적 있으신가요? (1) | 2023.10.20 |
[하루한자] 따르다 遵 준 | 어른 말씀을 따라본적 있으시죠? (1) | 2023.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