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수 이야기

[부수 214자 과정] 15강. 먹다 食 식, 달다 甘 감, 향기 香 향, 덮다 冖 멱, 덮다 襾 아

by Think Pond 2021. 1. 22.
반응형




이번 시간은 식생활 관련된 부수 글자 입니다.


1. 먹다 食 식

'먹다 食 식''먹다'는 뜻 뿐 아니라 ''이라는 뜻으로도 많이 알려진 글자 입니다. 그래서 '밥 食 식'으로도 많이 알고 계실 것인데요
이 글자는 회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 먹다 食 식 = 삼합, 모으다 亼 집 + (고소하다 皀 의 변형)' 입니다


'삼합, 모으다 亼 집'은 세개의 면에서 무언가를 끌어 모으는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세개의 면에서 모으니 세개의 합인 삼합이라는 것이고 그렇게 모으는 것을 나타내어 '모으다'는 뜻 입니다.

'고소하다 皀 ''희다 白 백 + 비수, 숟가락 匕 비' 입니다. 이 글자는 숟가락 위에 흰 쌀밥이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고 그 쌀밥의 밥냄세가 '고소하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


그래서 숟가락에 고소한 쌀밥()을 모아서() '먹다'는 뜻이고 그렇게 먹는 것이 ''이라는 뜻의 글자 입니다.

식사를 하실때 밥 공기 안에 있는 밥을 숟가락을 이용해서 모으고 떠서 먹는데 바로 그 모습을 표현한 것 입니다.


2. 달다 甘 감

'달다 甘 감'은 단맛을 표현한 부수 글자 입니다. 이 글자는 지사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입 口 구 + (음식)' 입니다. 즉 입안에 음식(쌀밥)이 있는 것을 표현한 것인데 그 음식(쌀밥)의 맛이 '달다'는 뜻 입니다.

식사를 하시면서 맛있는 쌀밥의 단맛을 느끼실 때 마다 '달다 甘 감'을 연상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3. 향기 香 향

'향기'라는 뜻을 가진 글자로 '벼 禾 화 + 日(달다 甘 감 의 변형)' 입니다. 즉 벼와 같은 곡식(禾)으로 밥을 지을 때 밥이 다 되어 먹을 (甘) 때 나는 고소한 밥향기(음식향)를 나타내어 '향기'라는 뜻 입니다.


4. 덮다 冖 멱

이 글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천이나 위에서 덮을 만한 뚜껑 같은 것을 표현한 글자 입니다. 그래서 덮어서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감추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5. 덮다 襾 아

이 글자는 회의 결합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위에서 덮고() 아래에서 받치고() 하는 모양. 위의 一은 그것을 또 덮어 가린다는 뜻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