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알맞다,맞다適적 | 먹기에 알맞은 과일을 나타낸 글자

by Think Pond 2020. 1. 29.



과일을 따는 모습을 한번 쯤 보셨을 것 입니다. 잘 익은 과일을 따는 것을 나타낸 글자인 '알맞다 適 적'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맞다 適 적 = 쉬엄쉬엄 가다 辶 착 + 밑동 啇 적' 입니다.


'쉬엄쉬엄 가다 辶 착'은 본래 辵 으로 '자축거리다 彳 척 + 그치다 止 지' 입니다. 辵는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낼 때 그 새로운 글자의 좌측에 위채하게 되면 그 모양이 辶로 변하게 됩니다. 그래서 辵과 辶은 같은 글자 입니다. '쉬엄쉬엄가다'는 것도 결국 '가는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다'의 뜻으로 해석이 됩니다.


'밑동 啇 적'은 밑동을 가리키는 말인데 밑동은 '과일의 꼭지'를 말합니다. 

'밑동 啇 적 = 매울 辛 신 + 입 口 구' 입니다. 


辛의 중앙 부분의 가로획을 길게 내리 그어서 그 모양이 변한 것 입니다. 辛은 문신용 바늘의 모양을 본 뜬 글자로 문신을 할 때의 통증이 '아프다, 맵다'는 뜻이고 그 문신을 하는 행위는 그 사람의 신분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나타내다'는 뜻이 있는 글자 입니다.




이러한 의미에 사람의 입을 나타내는 '입 口 구'를 결합하여 입으로 부터 사람의 생각이 나타나다는 뜻의 글자가 된 것인데 이렇게 사람의 생각이 입으로 부터 나타내듯 나무의 열매도 그 꼭지, 밑동으로 부터 나타난다고 비유하여 '밑동 啇 적'의 글자가 된 것 입니다. 

'밑동 啇 적'은 과일의 꼭지, 과일, 열매 등으로 해석이 됩니다.


'알맞다 適 적'의 음인 '적'은 '밑동 啇 적'의 음인 '적'에서 부터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適을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가다'와 '과일'의 뜻을 결합하여 '알맞다, 맞다 適 적'이 된 것인데

과일(啇 과일의 밑동 꼭지)을 따러 가서(먹기에 알맞은 열매를 따는 것을 나타내어 알맞다마땅하다는 뜻입니다.


먹기에 알맞게 잘 익은 과일을 보실 때 마다 ''알맞다 適 적'을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적격 適格, 적당 適當, 적절 適切'등에 사용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