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한자

[생활한자] 특혜 特惠 | 이런 것이 특혜 입니다.

by Think Pond 2020. 7. 16.
반응형



뉴스를 보다보면 '특혜'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되는데요. 이번에는 '특혜'라는 생활한자는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혜'라는 단어도 한자로 구성된 한자어 인데요.


'특혜 = 특별하다 特 특 + 은혜 惠 혜'입니다.


'특별하다 特 특 = 소 牛 우 + 절, 관청 寺 사, 시' 입니다.

'소 牛 우'는 소를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소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고

'절, 관청 寺 사, 시'는 절 이라고도 하고 관청이라고도 하는 글자 입니다. 본래 이 글자는 '관청 寺 시' 였는데, 후에 불교가 전파 되면서 주로 관청에서 불법을 설파 했으므로 절 이라는 뜻이 추가가 된 것 입니다. '특별하다 特 특'에서는 '관청'의 의미로 결합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특별하다 特 특'은 관청(寺)에서 관리하는 소(牛)를 가리키는 글자로 그 소가 특별하다고 하는 것 입니다.

예전에는 다른 소들에 비해 덩치도 크고 힘도 좋은 소를 종우로 별도 관리했던 것 입니다. 그래서 그렇게 관청(寺)에서 관리하는 소(牛)는 '특별하다'는 뜻 입니다.



'은혜 惠 혜 = 물레 전 + 마음 心 심' 입니다.

'물레 전'은 물레를 가리키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 물레는 물레방아와 같이 커다란 크기의 물레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을 감거나 자을때 사용하는 물레를 말합니다. 실을 자을때에는 물레를 그 속도를 일정하게 돌려야 하고 물레는 돌리는 힘도 적당해야 실이 끊어지지 않고 일정한 굵기의 실이 나온다고 합니다. 그렇게 자신의 힘을 제어하면서 물레를 돌리기 때문에 '삼가다'는 뜻도 있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삼가다'는 뜻으로 결합이 된 것 입니다.

'마음 心 심'은 마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인데 여기서는 일반적인 마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진마음'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은혜 惠 혜'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권력이 있지만 그 힘을 삼가며 상대방의 입장에서 어진마음을 가지고 베푸는 것을 가리켜 '은혜'라고 한 것 입니다.


결국 '특혜 特惠'는 특별한 은혜를 말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들 보다 특별하게 더 베푸는 것을 말하는 것 입니다.

이렇게 특혜를 주거나 받는 모습을 접하실 때 마다 '特惠'를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