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아리땁다 嬌 교 | 한자가 말하는 아리따운 여자는?

by Think Pond 2021. 1. 6.
반응형


남성분들 대부분은 아름다운 여성을 좋아하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아름다운 여성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아리땁다 嬌 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아름다운 여성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리땁다 嬌 교 = 여자 女 여 + 높다 喬 교' 입니다.


'여자 女 여'는 여자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높다 喬 교'는 높이가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어리다 夭 요 + 높다 高 고' 입니다. 이  글자는 그 키가 큰 나무의 모습을 표현한 글자로 나뭇가지가 축 늘어지고(夭) 키가 큰(高) 것을 나타낸 것으로 '큰 키나무, 높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아리땁다 嬌 교'의 음인 '교'는 '높다 喬 교'의 음인 '교'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嬌'를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여자 女 여'와 '높다 喬 교'를 결합하여 '아리땁다 嬌 교'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남다르게 키가 크고(훤칠한 여성()을 가리켜 아리땁다는 뜻이고 지식지혜덕행 등 의식 수준미모의 수준이 높은(여성()을 가리켜 아리땁다는 뜻입니다.

*여러 여성이 춤을 출 때(夭) 눈에 띄는 훤칠한 키(喬)의 여성(女)이 아리땁다는 뜻


늘씬하고 훤칠한 외모의 여성이 눈에 띄게 마련인데 바로 그러한 여성을 표현한 글자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 것 입니다. 

그런 여성을 보실 때 마다 '아리땁다 嬌 교'를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교언 嬌言, 교태 嬌態'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