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숨기다 秘 비 | 비밀 모두 있으시죠?

by Think Pond 2021. 4. 1.
반응형

 

누구나 모두 비밀 하나쯤은 있으시죠? 개인정보가 많이 있는 핸드폰도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재미 있게도 한자에는 다른 사람이 모르게 숨기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숨기다 秘 비'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다른 사람이 모르게 숨기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숨기다 秘 비 = 벼 禾 화 + 반드시 必 필' 입니다.

 

'벼 禾 화'는 벼를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벼라는 뜻 뿐 아니라 '세금'의 의미로도 사용이 되는데요. 지금과 같이 화폐가 발달하지 못했던 옛날에는 농작물을 세금으로 거두었는데요. 그래서 '禾' 는 세금의 의미로도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반드시 必 필'은 반드시 라는 뜻의 글자입니다. '여덟 八 팔 + 주살 弋 익'으로 땅을 나눌 때 반드시 말뚝이나 푯말로 정확하게 측량 및 표시를 하고 나누어야 한다는 뜻의 글자 입니다.

 

'숨기다 秘 비'의 음인 '비'는 '반드시 必 필'의 음인 '필'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秘'를 형성 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벼 禾 화'와 '반드시 必 필'이라는 글자를 결합하여 '숨기다 秘 비'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세금을 곡식으로 거두는 시대에, 세금(禾)을 줄이기 위해 반드시(必) 다른 사람이 모르게 숨기는 것을 나타내어

‘숨기다, 비밀‘이라는 뜻입니다.

 

사람이 절대로 피할 수 없는 것이 죽음과 세금이라는데 예전에도 세금을 줄이기 위해 고민들을 많이 한 것을 글자를 통해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요즘에도 절세를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는데요.

 

절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을 줄이는 것인데 예전에는 소득을 줄이기 위해 곡물을 숨기는 노력을 한 것이죠. 이렇게 절세를 위해 노력 하시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개가 되면 안되는 것을 숨기는 경험을 하실 때 마다 '숨기다 秘 비'를 연상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