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 공부할 일본어 한자는 '응하다 応 응' 입니다.
応이라는 한자가 일본에서는 어떻게 음독되고 훈독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応의 본래 모양은 應 입니다. 여기에서 亻과 隹를 생략한 것이 応 입니다. 즉 応은 應의 약자입니다.
1. 음독
음독은 한자의 음에서 부터 출발 합니다.
應의 음은 '응'인데 이 음을 초,중,종성으로 나누어 보면
한자음 '응'은
초성 : 'ㅇ'
중성 : 'ㅡ'
종성 : 'ㅇ'
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여기에 해당하는 일본어 음은
초성 : 'ㅇ' 은 'あ' 행으로 발음되고
중성 : 'ㅡ' 는 '응'이라는 음에서 'ㅡ'는 대부분 'お'로 발음 됩니다.
종성 : 'ㅇ'는 다음 음절로 음이 넘어가는데 'う'의 음으로 발음 됩니다.
이 초,중,종 성과 대응되는 일본어 음을 합하면 일본어 음독이 됩니다.
그래서 'あおう'가 일본어 음독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あお'가 이중모음이 되는데 이러한 경우 대부분 첫번째 모음은 생략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おう'가 되고 이것이 応의 음독이 되는 것 입니다.
2. 훈독
훈독은 한자 뜻에 해당하는 것으로 応의 뜻은 '응하다' 입니다.
이 응하다라는 말은 어떤 정보나 행동을 받아들이고 거기에 맞게 응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응하다'는 뜻의 일본어는 'こたえる(코타에루)' 입니다.
이 코타에루라는 말은 우리말 '거두어 받아들이다'라는 말에서 부터 나온 것인데
여기서 '거두다'에서 시작하여 '거두다 > 거두어라 > 고두에루 > 고다에루 > 코타에루 こたえる가 된 것 입니다.
평소 정보를 거두고 받아들여 거기에 맞게 응할 때 마다 거두다가 こたえる가 된 것이구나 생각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하루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한자] 길 路 로 | 길을 걸을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 한자공부 | 한자부수 (0) | 2019.09.19 |
---|---|
[하루한자] 범하다犯범 | 자세를 낮추는 개를 볼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 한자공부 | 한자부수 (0) | 2019.09.17 |
[하루한자] 응하다應응 | 훈련된 새를 볼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 한자공부 | 한자부수 (0) | 2019.09.16 |
[하루한자] 마시다飮음 | 입을 벌리고 물을 마실때 마다 배울 수 있는 | 한자공부 | 한자부수 (0) | 2019.09.12 |
[하루한자] 느끼다感감 | 공감할 때 마다 배울 수 있는 | 한자공부 | 한자부수 (0) | 2019.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