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일본어한자] 서술하다敍서 | 일본어 음독 じょ | 일본어 훈독 のべる

by Think Pond 2019. 10. 7.



이번 시간에 학습할 한자는 '서술하다 敍 서' 입니다.

敍가 일본에서는 어떻게 음독, 훈독 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1. 음독

음독은 한자 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술하다 敍 서'의 음은 '서' 입니다. 이 '서' 음을 초,중,종성으로 나누어 살펴 보면


한자음 '서'는

초성 : 'ㅅ'

중성 : 'ㅓ' 

종성은 없습니다. 초,중성으로 구성된 음으로 여기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초성 : 'ㅅ'은 대부분 'さ' 행으로 발음 됩니다. 'ㅅ'이 'さ' 행으로 발음 된다는 것은 'ㅅ'의 음이 그대로 발음된다는 의미 입니다.

중성 : 'ㅓ'는 대부분 'え'로 발음 되는데 敍의 중성인 'ㅓ'는 ’よ'로 발음 됩니다.

그래서 'ㅅ'와 'ㅛ'가 결합한 음이 음독이 되는 것인데 두개의 음을 결합해 보면 '쇼(しょ)'가 되지만 이 글자는 탁음으로 발음이 되어서 'じょ(죠)'로 발음 됩니다.

이렇게 해서 敍의 일본어 음독은 'じょ(죠)' 입니다.


2. 훈독

훈독은 한자 뜻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술하다 敍 서'의 뜻은 '서술하다,말하다' 입니다. 여기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のべる(노베루)' 입니다.

이 'のべる(노베루)'는 그 어원이 우리말이라고 하는데 어떤 우리말이 일본으로 건너가 'のべる(노베루)'가 된 것이냐면

우리말의 표현 중에 이것저것 말을 잘 하는 사람을 보고 '나불나불 거린다'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바로 그 '나불'이 일본으로 넘어가 'のべる(노베루)'가 되었다고 합니다.




나불거리다 -> 나불 -> 나부 -> 노베 -> 'のべる(노베루)'


평소 말을 잘 하시는 사람을 보실 때 마음속으로 '잘 나불나불 하는 구나' 생각만 하시면서 이 말이 일본에서 'のべる(노베루)'가 된 것이구나 하시면서 연상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