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시간은 부수글자 7번째 시간으로
지난 시간에 공부한 '입 口 구'에 이어서 입 안에 있는 혀과, 치아를 나타내는 부수글자들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혀 舌 설
혀 舌 설은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혀 舌 설 = 방패 干 간+ 입 口 구' 입니다. 입과 방패가 결합하여 '혀'를 나타내는 글자를 만든 것인데 이것은 입안(口)에서 방패(방어干) 기능을 하는 것이 '혀'라는 뜻 입니다.
2. 이 齒 치
'이 齒 치'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즉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인데 이해를 돕기 위해 서체 변화를 살펴 보면
가장 왼쪽의 초기모양을 보면 '입 口 구'의 초기 모양에 위 아래로 치아가 2개씩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글자는 입안에 있는 윗니, 아랫니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인 것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동영상 참조)
3. 어금니 牙 아
'어금니 牙 아'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어금니의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라고 하는데 그 서체변화를 보면
서체변화를 보면 금문의 그 모양이 어금니의 모양이라고 하기에는 좀 어려워 보입니다. 오히려 지금의 글자 모양이 어금니와 더욱 비슷하게 보입니다.
반응형
'부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 214자 과정] 9강. 털 毛 모, 터럭 彡 삼, 머리털드리워지다 髟 표, 말 잇다 而 이 (0) | 2019.11.11 |
---|---|
[부수 214자 과정] 8강. 가로되 曰 왈, 하품 欠 흠, 말씀 言 언, 소리 音 음 (0) | 2019.11.01 |
[부수 214자 과정] 6강 눈 目 목, 보다 見 견, 보이다 示 시, 귀 耳 이, 코 鼻 비, 입 口 구 (0) | 2019.10.24 |
[부수 214자 과정] 5강 마음 心 심, 몸 身 신, 스스로 自 자, 머리 頁 혈, 머리 首 수, 얼굴 面 면 (0) | 2019.09.19 |
[부수 214자 과정] 4강. 사사 厶 사, 아버지 父 부, 어머니 母 모, 아들 子 자, 여자 女 녀, 성씨 氏 씨 (0) | 2019.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