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16

[하루한자] 집 宅 택 오늘 학습할 한자는 '집 宅 택' 입니다. '택지(宅地), 주택(住宅), 택배(宅配), 저택(邸宅)'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집 宅 택 = 집 宀 면 + 의지하다 乇 탁' 입니다. '집 宀 면' 은 거주하는 집을 의미하는 부수글자 입니다. '의지 하다 乇 탁'은 벼 이삭이 줄기를 본 떠서 만든 상형 글자로 '의지하다'는 뜻이 있는 글자 입니다. 벼 이삭이 줄기에 의지하다는 말 입니다. 그래서 집과 의지하다가 결합해서 '집 宅 택'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집(宀)을 생활 근거지로 몸을 의지하고(乇) 살아가는 ‘집’ 이고, 남의 집의 부인을 일컬어 ‘댁’ 이며, 죽은 사람이 묻히는 집이 ‘묘’ 라는 뜻입니다. 몸을 의지하는 곳을 의미하는 글자 인데 우리가 거주하는 집을 볼 때 마다 '집 宅 택.. 2015. 9. 23.
[하루한자] 재주 技 기 오늘 학습할 한자는 '재주 技 기' 입니다. '기술(技術), 경기(競技), 기능(技能), 특기(特技)'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재주 技 기 = 손 扌 수 + 가지, 지탱하다 支 지' 입니다. '손 扌 수'는 우리의 신체 중 일부인 '손'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가지, 지탱하다 支지'는 손에 나뭇가지를 들고 있는 것을 나타낸 글자로, 나뭇가지에 몸을 '지탱하다' 또는 손에 들고 있는 것이 '가지'이므로 '가지'라는 뜻이 있는 부수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가지'로 해석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손과 가지가 결합하여 '재주 技 기'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손(扌)에서 갈려나간(支) 손가락을 나타내어, 손가락이 물건을 만들거나 글씨를 쓰는 등의 여러 가지 ‘재주, 재능’ 이라는 뜻입니.. 2015. 9. 22.
[하루한자] 뾰족하다 尖 첨 오늘 학습할 한자는 '뾰족하다 尖 첨' 입니다. '첨단(尖端), 첨예(尖銳), 첨탑(尖塔), 첨병(尖兵)'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뾰족하다 尖 첨 = 작다 小 소 + 크다 大 대' 입니다. '작다 小소'는 작은 것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크다 大대'는 큰 것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입니다. 그래서 작은것과 큰것을 결합하여 '뾰족하다 尖 첨'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끝이 가늘고 몸 부분으로 갈수록 굵은 송곳이나 창 끝처럼 ‘뾰족하다, 날카롭다’는 뜻입니다. 즉 한쪽은 작아지고 반대쪽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뾰족한 모양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뾰족한 것을 지혜롭게 표현한 글자 입니다. 끝이 작아지면서 뾰족하고 날카로운 물체를 볼 때 마다 '뾰족하다 尖 첨'을 연상하시면 아주 쉽게 파지 될 것.. 2015. 9. 21.
[하루한자] 다리 橋 교 오늘 학습할 한자는 '다리 橋 교' 입니다. '교각(橋脚), 교량(橋梁), 교두보(橋頭堡), 가교(架橋)'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다리 橋 교 = 나무 木 목 + 높다, 큰 키 나무 喬 교' 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가리키는 부수글자 입니다. '높다, 큰 키 나무 喬 교'는 나무가 울창하고 키가 큰 것을 나타내어 '큰 키 나무', '높다'의 뜻을 가진 형성 글자 입니다. 喬 = 어리다, 구부러지다 夭 요 + 높다 高 고(획 줄임)입니다. 여기서는 구부러지다 夭요로 해석 하여 나무가 크고 가지가 축 늘어진 큰 나무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나무와 큰 키 나무가 결합하여 '다리 橋교'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강이나 계곡을 건너질러 다니도록, 나무(木) 중에 키가 큰 나무(喬)를 베어서 만든.. 2015. 9. 18.
[하루한자] 차 茶 다, 차 오늘 학습할 한자는 '차 茶 다, 차'입니다. '차례(茶禮), 다반사(茶飯事), 홍차(紅茶), 녹차(綠茶)'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차 茶 다, 차 = 풀 艹 초 + 사람 人 인 + 나무 木 목' 입니다. 또 다른 주장이 있는데 그것은 '차 茶 다,차 = 풀 艹 초 + 모으다 人 집(亼의 획 줄임)+ 나무 木 목' 입니다. '풀 艹 초'는 풀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사람 人 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모으다 亼집'은 삼합집이라고도 하는데 여러곳에서 물건을 모으거나 모이는 것을 나타내는 회의 글자 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그래서 풀과 나무와, 사람 또는 모으는 것이 결합하여 '차 茶다'를 만들어 낸것인데, 그 뜻은 차의 재료가 되는 풀잎(.. 2015. 9. 17.
[하루한자] 꽃, 영화롭다 榮 영 오늘 학습할 한자는 '꽃, 영화롭다 榮 영' 입니다. '영화(榮華), 영광(榮光), 영예(榮譽), 번영(繁榮)'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꽃, 영화롭다 榮 영 = 熒의 획 줄임 + 나무 木 목' 입니다. '등불 熒 형'의 획 줄임은 '등불'을 표현 하고자 사용된 것이 아니고 등불처럼 생긴 꽃을 표현 하고자 빌려쓴 글자입니다. 여기서 표현 하고자 한 등불 모양의 꽃은 '오동나무 꽃'입니다. '나무 木 목'은 나무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그래서 오동나무 꽃과 나무가 결합하여 '영화롭다 榮 영'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오동나무(木)의 꽃이 핀 ( ) 모양을 나타내었다. 또는 초롱불( )처럼 생긴 자줏빛 꽃이 피는 오동나무(木)를 나타내어, 벼슬한 사람이 앞세우고 다니는 초롱불과 흡사하므로, 벼.. 2015. 9. 16.
[하루한자] 뒤 後 후 오늘 학습할 한자는 '뒤 後 후' 입니다. '이후(以後), 오후(午後), 전후(前後), 후진(後進)'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뒤 後 후 = 자축거리다 彳 척+ 작다,어리다 幺 요 + 천천히 걷다 夊 쇠' 입니다. '자축거리다 彳 척'은 왼발을 본뜬 부수글자로 걷다의 의미로 해석이 되는 글자 입니다. '작다, 어리다 幺 요'는 어린 아기의 모양을 본 뜬 부수글자로 작다, 어리다의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작다'로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천천히 걷다 夊 쇠'는 천천히 걷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그래서 걷다, 작다, 천천히 걷다 가 결합하여 '뒤 後 후'를 만들어 낸 것으로 그 뜻은 작은 것(幺)이 천천히 걸어서(夊) 앞으로 나아가는(彳) 것이란 뜻이다. 걸음걸이(彳)가 작고(幺) 천천히 걸으.. 2015. 9. 15.
[하루한자] 받다 受 수 오늘 학습할 한자는 '받다 受 수' 입니다. '수용(受容), 수락(受諾), 수신(受信), 인수(引受), 접수(接受)'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받다 受 수 = 손톱 爪 조 + 冖 (배 舟 주의 획 줄임) + 오른손 又 우' 입니다. '손톱 爪 조'는 손톱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인데 손톱만 나타내는 글자가 아니라 '손'의 의미도 있는 글자 입니다. 여기서는 '손'으로 해석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冖'은 부수 '덮다 冖 멱'과 그 모양은 동일하나, '덮다 冖멱'이 사용된 것이 아니라 '배 舟 주'의 획 줄임입니다. 그래서 배, 술잔 으로 해석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또, 오른손 又 우'는 오른 손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손을 나타내는 손톱, 술잔, 오른손 이 결합하여 '받다 受 수'를 만들.. 2015. 9. 14.
[하루한자] 던지다 投 투 오늘 학습할 한자는 '던지다 投 투' 입니다. '투수(投手), 투자(投資), 투표(投票), 투기(投機), 투입(投入)'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던지다 投 투 = 손 扌 수 + 창, 몽둥이 殳 수' 입니다. '손 扌수'는 손을 가리키는 부수글자로 手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 모양이 변형된 것입니다. '창, 몽둥이 殳수'는 손에 몽둥이나 창을 들고 있는 것을 나타낸 부수 글자 입니다. 그래서 창, 몽둥이 라는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창'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손과 창이 결합하여 '던지다 投 투'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손(扌)으로 창(殳)을 던지듯이 돌이나 물건을 ‘던지다’는 뜻입니다. 평소에 손으로 무언가를 던지는 경험은 거의 없기 때문에 야구에서 투수가 공을 던질 때나, 다른 .. 2015. 9. 11.
[하루한자] 어렵다 難 난 오늘 학습할 한자는 '어렵다 難 난' 입니다. '난민(難民), 난국(難局), 난제(難題), 난항(難航), 가난(家難)'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어렵다 難 난 = 노란진흙 堇 근 + 새 隹 추' 입니다. '노란 진흙 堇 근'은 질퍽한 진흙을 나타낸 회의 글자 입니다.(설명은 동영상 참조) '새 隹 추'는 새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그래서 진흙과 새가 결합하여 '어렵다 難 난'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진흙(堇)에 발이 빠진 새(隹)가 공중으로 날아오르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질퍽한 진흙에 빠지면 걷기가 어렵고 때로는 진흙 밖에서 도움을 줘야 그 곳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작은 새가 진흙에 빠져 날개도 무거워 지고 그로 인해 날아 오르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어려.. 2015. 9. 10.
[하루한자] 눈썹 眉 미 오늘 학습할 한자는 '눈썹 眉 미' 입니다. '미간(眉間), 백미(白眉), 설미(雪眉), 미목(眉目)'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눈썹 眉 미'는 상형 글자로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그래서 眉 는 눈썹의 모양을 본 뜬 글자다 라고 생각 하시면 되는데 '눈썹'만 본 뜬 것이 아니라 눈썹의 뜻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눈 目 목'을 같이 상형한 것입니다. 그래서 눈(目)위에 눈썹 떨이 나 있는 모양을 나타내어 '눈썹'이라는 뜻입니다. 눈썹 眉 미 에서 눈 目목을 뺀 나머지 부분이 눈썹입니다. 그런데 우리의 눈썹이 저렇게 생겼나요?? 눈 目 목을 제외한 것에서 丿을 뺀 부분이 눈썹이고 丿은 눈과 코의 경계입니다. (첨부참조) 그래서 눈과 눈썹과 코와의 경계 까지를 본 뜬 글자입니다. 거울을 보실.. 2015. 9. 9.
[하루한자] 목숨, 장수 壽 수 오늘 학습할 한자는 '목숨, 장수 壽 수' 입니다. '수명(壽命), 장수(長壽), 천수(天壽), 만수(萬壽), 수의(壽衣)'등에 사용되는 글자입니다. '목숨, 장수 壽 수 = 士 + 나머지 부분(첨부 참조)' 입니다. '士'는 '선비 士 사'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나 선비사가 쓰인것이 아니고 '늙다 老 노'의 변형입니다. 그래서 '늙다'로 해석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나머지 부분'은 ' 장수하다 수'라는 회의 글자 입니다. 그래서 늙다와 장수하다 가 결합하여 '목숨, 장수 壽 수'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나이를 먹어 늙도록(士 ← 老) 장수하는( )것을 나타내어 ‘목숨, 나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장수하다 수' 입니다. 여기에 장수의 비결을 담아 놓은 지혜를 배울 수 있는데 '장수하.. 2015. 9. 8.
[하루한자] 자 尺 척 오늘 학습할 한자는 '자 尺 척' 입니다. '척도(尺度), 지척(咫尺), 축척(縮尺), 척촌(尺寸)'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자 尺 척 = 주검, 몸 尸 시 + 乀 '입니다. '주검, 몸 尸 시'는 주검 또는 몸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인데 여기서는 몸으로 해석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乀'은 '파임 乀불'이라는 글자인데 여기서는 '파임 乀불' 이 아니라 '새 乙 을'의 변형입니다. '새乙을'은 새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인데 새라는 뜻 이외에 굽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굽다로 해석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몸과 굽다가 결합하여 '자 尺 척'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우리 몸에서 구부러지고 펴지는 팔의 손목에서 팔꿈치 까지의 거리가 한 ‘자’라는 뜻, 겨우 몇 자 되는 거리가 ‘가깝다’는.. 2015. 9. 7.
[하루한자] 더하다 添 첨 오늘 학습할 한자는 '더하다 添 첨' 입니다. '첨가(添加), 첨부(添附), 별첨(別添), 첨삭(添削)'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더하다 添 첨 = 물 氵 수 + 욕되다, 더럽히다 忝 첨' 입니다. '물 水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욕되다, 더럽히다 忝 첨'은 죄인이 하늘을 쳐다 보기가 부끄러운 마음을 나타내어 '욕되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입니다. 그래서 물과 욕되다 가 결합하여 '더하다 添 첨'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죄인에게 물을 끼얹어서, 죄를 지어 벌을 받은 사람을 한 번 더 욕보인 것을 나타내어 ‘더하다, 덧붙이다’는 뜻입니다. 옛날 죄인을 압송하여 갈 때에 주위의 사람들이 길가에서 '오물'을 끼 얹는 것을 연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오물을 더하여 한 번 더 욕되게 .. 2015. 9. 4.
[하루한자] 근심 患 환 오늘 학습할 한자는 '근심 患 환' 입니다. '환난(患亂), 환부(患部), 환자(患者), 병환(病患), 질환(疾患)'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근심 患 환 = 꿰다 串 관 + 마음 心 심'입니다. '꿰다 串 관'은 꼬챙이로 무언가를 꿰뚫은 모양을 본 뜬 글자입니다. '마음 心 심'은 마음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그래서 꿰다와 마음이 결합하여 '근심 患 환'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돈꿰미(串)를 잃지 않을까 염려한다(心)는 데서 ‘근심’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꿰는 것은 옛 주화인 엽전을 줄로 꿴 것입니다. 그래서 어렵게 모은 돈을 잃지 않을까 염려 하는 그 마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돈에 대한 근심은 예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는 듯 합니다. 요즘 미국의 금리인상, 중국의 증시폭락등으로 국내 .. 2015. 9. 3.
[하루한자] 자리 位 위 오늘 학습할 한자는 '자리 位 위' 입니다. '위치(位置), 순위(順位), 단위(單位), 지위(地位), 상위(上位)'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자리 位 위 = 사람 亻 인 + 서다 立 립'입니다. '사람亻인'은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이고 '서다立립'은 사람이 서있는 모습을 본 뜬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사람과 서다가 결합하여 '자리 位 위'를 만들어낸 것인데, 그 뜻은 옛날 조정에서 신하(亻)가 임금의 앞 좌우로 쭉 벌려 서는데(立) 그 서는 자리가 품계에 따라 정해져 있다. 그 자리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여기서 '사람 人 인'은 일반적인 백성을 나타낸 것이 아니라 조정에서 일을 하는 신하들을 가르킨 것입니다. 그래서 그 신하들이 임금 앞에 서있는데 그 서는 자리를 나타낸 것입니다. 경복궁 근정.. 2015. 9. 2.
노인(老人) 진료비(診療費) 11% 급증(急增)… 전체(全體)의 36% 차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健康保險審査評價院), 올해 상반기(上半期) 진료비(診療費) 통계지표(統計指標)OECD 국가(國家) 최상위권(最上位圈) ‘진료비(診療費) 증가(增加) 속도(速度)’ 더 빨라져 환자(患者) 1인당(人當) 비용(費用) ‘알츠하이머성 치매(癡呆) 785만원’ 최다(最多)올 상반기(上半期) 노인(老人)들이 병의원(病醫院)과 약국(藥局)에서 사용(使用)한 진료비(診療費)가 1년 만에 11% 넘게 급증(急增)했다. 한국(韓國)의 급속(急速)한 교령화(高齡化)와 진료비(診療費)증가(增加)가 경제협력개발기구(經濟協力開發機構) (OECD) 회원국(會員國) 중 1위(位)를 점(占)한 진료비(診療費) 증가(增加) 속도(速度)를 더욱 높여가고 있는 셈이다. 환자(患者) 1인당(人當) 진료비(診療費)는 알츠하이.. 2015. 9. 1.
[하루한자] 사이 間 간 오늘 학습할 한자는 '사이 間 간' 입니다. '구간(區間), 간격(間隔), 공간(空間), 기간(期間), 시간(時間)'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사이 間 간 = 문 門 문 + 해 日 일' 입니다. '문 門 문'은 문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해 日 일'은 해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즉 문과 해를 결합하여 '사이 間 간'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문(門)틈으로, 햇빛(日)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내어 ‘사이’, 시간의 틈이 ‘동안’ 이라는 뜻입니다. 문 틈 사이로 햇빛이 비춰져서 보이는 그 작은 틈(공간)을 이야기 하는 것이고 시간의 틈은 '~동안'이라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문틈이나 빛이 들어가는 틈을 볼 때마다 '사이 間 간'을 연상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입니다. 2015. 9. 1.
[하루한자] 꾸미다 裝 장 오늘 학습할 한자는 '꾸미다 裝 장' 입니다. '장치(裝置), 장비(裝備), 포장(包裝), 무장(武裝), 장착(裝着)'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꾸미다 裝 장 = 장하다, 굳세다 壯 장 + 옷 衣 의' 입니다. '장하다, 굳세다 壯 장'은 힘이 세고 어려운 일을 잘 해결하는 것을 나타낸 글자 입니다. '옷 衣 의'는 옷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 입니다. 그래서 굳세다, 장하다 와 옷이 결합을 하여 '꾸미다 裝 장'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적군을 상대로 장하게(壯) 싸우는 무사가 갑옷(衣)을씩 입고 무기를 갖추어 위엄있는 모습으로 ‘꾸미다, 치장하다’는 뜻입니다. 즉 갑옷을 굳세게 보이도록 꾸미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극을 볼 때에 장수들이 갑옷을 입고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갑옷을 보면 투구.. 2015. 8. 31.
[생활한자] 휴대전화(携帶電話) 이번 시간은 휴대전화(携帶電話) 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우리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 중 하나 입니다.그 만큼 파지 하기 쉬운 한자라 할 수 있는데. 국어사전에서 휴대전화(携帶電話)의 뜻을 찾아보면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걸고 받을 수 있는 소형 무선 전화기. [비슷한 말] 핸드폰ㆍ휴대폰.으로 정의 되어 있습니다.간단하게 말해서 휴대할 수 있는 전화기 인데 휴대 + 전화 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휴대와 전화를 각 각 국어사전에서 찾아 보면휴대 :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님. [비슷한 말] 휴지3(携持).전화 : 말소리를 전파나 전류로 바꾸었다가 다시 말소리로 환원 시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이 서로 이야기할 수 있게 만든 기계 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럼 한자에서는 어떻게 표.. 2015. 8.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