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루한자] 다스리다, 이치 理 리 | 보석 닦아 보신 경험 있으시죠? 보석이나 장식품을 깨끗하게 닦아본 경험이 있으신 가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구슬의 무늬가 잘 나타나게 닦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다스리다, 이치 理 리'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구슬을 잘 닦는 것과 다스리는것, 이치가 무슨 관련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뜻과 만들어진 원리 理 = 구슬 玉 옥 + 마을 里 리 뜻 : 다스리다, 옥을 갈다, 바르다, 이치, 깨닫다, 통하다, 재판하다, 처리하다, 손질하다, 길, 도리 '구슬 玉 옥' 은 보석의 한 종류인 옥구슬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옥 구슬을 줄에 꿴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 입니다. '마을 里 리'는 사람들이 모여 살기 좋은 마을을 나타내는 부수 글자로 '밭田전 + 흙土토' 입니다. 농사를 지을수 있는 밭(田)을 .. 2023. 7. 5.
[하루한자] 다스리다, 정사 政 정 | 좋아하는 정치인 있으세요? 좋아하는 정치인 있으세요? 많은 사람들로 부터 사랑받는 왕이나 정치인은 많은 국민, 백성들을 바르게 살아가도록 잘 다스렸기 때문일 것 입니다.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다스리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는데요. 바로 '다스리다, 정사 政 정' 이라는 글자 입니다.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다스리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스리다, 정사 政 정 = 바르다 正 정 + 두드리다 攵 복' 입니다. '바르다 正 정'은 바르다는 뜻을 가진 글자로 '하나 一 일 + 발 止 지' 입니다. 즉 발을 한곳에 가지런히 모으고 바른 자세로 있는 모습이 '바르다'는 것 입니다. '다스리다 政 정'의 음인 '정'은 '바르다 正 정'의 음인 '정'에서 온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政'을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2021. 6. 17.
[하루한자] 다스리다 治 치 | 정치의 근본은 이것 ! 요즘 총선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시는 데요.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정치가 근본으로 삼아야 하는 것을 담아 놓은 글자가 있습니다.이번 시간에 공부 할 '다스리다 治 치'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정치는 무엇을 근본으로 삼아야 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스리다 治 치 = 물 氵 수 + 기르다 台 이' 입니다. '물 氵 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기르다 台 이'는 '별이름 태' 라고도 하는 글자인데 그 중심의미가 임신한 여성이 그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며 입가에 웃음을 띄우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그 뜻은 '별 이름, 대감, 늙은이, 기르다'등의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기르다'는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또한 이 글자의 음은 '태, 이' 이렇게 2개를 가진 이중.. 2020. 4. 13.
[하루한자] 지나다經경 | 지나온 시간을 되돌아 보며 배울 수 있는 | 한자공부 | 한자부수 오늘 학습할 한자는 '지나다, 다스리다 經 경' 입니다. '경과(經過), 경로(經路), 경력(經歷), 경영(經營), 경제(經濟), 경비(經費), 경험(經驗)'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經는 형성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지나다 經 경 = 실 糸 사 + 물줄기 巠 경' 입니다. '실 糸 사'는 실을 나타내는 부수글자로 실타래의 모양을 본 뜬 글자 입니다. '물줄기 巠 경'은 물줄기를 나타내는 형성글자로 '一 + 巛 + 工' 입니다. 물이 냇물(巛) 처럼 잘 흐르드록 장인이(工) 한 줄(一)로 잘 정리하여 만든 '물줄기'라는 뜻 입니다. 經에서의 음인 '경'은 巠에서의 음인 '경'에서 온 것입니다. 이렇기 때문에 經을 형성글자라고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실과 물줄기가 결합하여 '지나다, 다스리다 經.. 2019. 4. 30.
[하루한자] 다스리다 治 치 오늘학습할 한자는 '다스리다 治 치' 입니다.'치산(治山), 치수(治水), 정치(政治), 통치(統治)'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治는 형성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다스리다 治 치 = 물 氵수 + 별 이름 台 태'입니다.'물 氵수'는 물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별 이름 台 태'는 여러가지 뜻과 음을 가진 재미있는 글자 인데 이 글자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글자 본래의 의미를 살펴 보아야 합니다.台 도 결합에 의해 만들어 진 글자인데 厶+口 입니다. 厶는 아기의 머리입니다. 口는 그 아기를 뱃속에 잉태한 산모 입니다. 뱃속의 아기가 발길질을 하는 것을 엄마가 느끼며 입가에 미소가 번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글자는 '기르다'는 뜻이 있는 것이고 옛날에는 아기가 삼신 할머니의 점지를 받고 .. 2017. 12. 12.
다스리다 政 정 오늘 학습할 한자는 '다스리다 政 정' 입니다.'정당(政黨), 정책(政策), 국정(國政), 위정(爲政)'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政은 형성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다스리다 政 정 = 바르다 正 정 + 두드리다 攵 복' 입니다.'바르다 正 정'은 정도를 지킨다는 뜻과, 바르게 서있는 것을 나타내어 '바르다'는 글자 인데 여기서는 '바르게 살아가다'의 의미로 결합이 된 것입니다.'두드리다 攵 복'은 손(又)에 댓가지(丿)를 들고 치거나 두드리는 것을 의미하는 부수글자인데 부수 수업에서도 이야기 한 것 같이 손에 회초리(사랑의 매)를 들고 지도 편달 하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지도 편달'의 의미로 결합이 된 것입니다.그래서 바르게 살아가다와 지도편달하다가 결합하여 '다스리다 政 정'을 만들어.. 2017. 11. 28.
[하루한자] 합하다 總 총 오늘 학습할 한자는 '합하다 總 총' 입니다. '총리(總理), 총수(總帥), 총괄(總括), 총액(總額)'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總 은 형성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합하다 總 총 = 실 糸 사 + 바쁘다 悤 총' 입니다. '실 糸 사'는 실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바쁘다 悤 총'은 바쁘다, 급하다 밝다의 의미가 있는 형성글자로 굴뚝에 불이 타올라 연기나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바쁘다, 급하다'의 뜻입니다. 그래서 실과 바쁘다가 결합하여 '합하다 總 총'을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실(끈)로 물건을 묶듯이, 복잡하고 바쁘게(悤) 움직여 돌아가는 세상일들을 한데 '합하다', '묶다'는 뜻이며, 합하고 묶어서 '거느리다‘라는 뜻입니다. 물건이 어지러이 놓여 있을 때 그것들을 한다 묶어서 정.. 2016.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