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자

[하루한자] 찾다 搜 수 | 길가에서 물건 찾아 본 경험 있으세요?

by Think Pond 2023. 4. 25.
반응형

귀중한 물건을 길가에 떨어뜨리고 찾아보신 경험 한번쯤 있으시죠? 재미있게도 한자에는 이렇게 물건을 찾는 것을 표현한 글자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찾다 搜 수' 인데요. 이 글자를 공부하면서 찾는 것을 어떻게 표현을 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찾다 搜 수 의 뜻과 만들어진 원리

搜 = 扌 +

뜻 : 찾다, 탐구하다, 더듬다, 가리다, 고르다, 많다, 빠르다, 쓸쓸하다, 움직이는 모양, 어지럽다, 어지러워지다, 흐트러지다

음 : 수, 소(어지럽다, 어지러워지다, 흐트러지다)

 

'찾다 搜 수' 는 형성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 입니다. 형성의 원리라는 것은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낼 때 하나의 글자에서는 모양(形)을, 다른 하나의 글자에서는 소리(聲)를 따서 만든 글자를 말합니다. 전체 한자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찾다 搜 수 = 손 扌 수 + 늙은이 叟 수  입니다.

손이라는 뜻과 늙은이라는 뜻의 글자를 결합하여 만든 글자로, 叟는 늙은이라는 뜻으로 결합이 되었다기 보다는 이 글자의 중심의미인 손에 부젓가락을 들고 불씨를 찾는 모습의 의미로 결합이 된 것입니다. 扌는 손이라는 의미 보다는 손으로 무엇인가를 하는 행위의 의미로 결합이 되었습니다. 

 

손에 부젓가락을 들고 불씨를 조심스럽게 찾고 다루듯 손으로 무엇인가를 조심스럽고 자세하게 찾는 모습을 담은 글자 입니다. 길을 가다가 중요한 물건을 떨어뜨려 길가로 물건이 넘어갔을 때 길가에 있는 풀을 손으로 살피며 찾는 경험을 하실 때마다 '찾다 搜 수'를 연상 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 입니다.

수색하는 경찰- 출처new1-

 

글자의 음

늙은이 叟 → 찾다 搜

늙은이 叟 수 의 음인 '수'가 그대로 활용되었습니다.

 

단어, 성어

搜査(수사) : 찾아다니며 조사함

搜索(수색) : 더듬어서 찾음.

 

반응형

댓글